-
-
북유럽 신화 - 바이킹의 신들 ㅣ 현대지성 클래식 5
케빈 크로슬리-홀런드 지음, 서미석 옮김 / 현대지성 / 2016년 2월
평점 :
북유럽 신화, 바이킹의 신들을 이야기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904/pimg_7918311082288997.jpg)
거의 300년 동안 유럽과 이남의 세계에서 가장 흥미롭고 영향력 있는 세력이었던 바이킹.
그들은 자신들의 오래된 신들을 숭배하고 믿었으며,
바이킹의 시인들은 현재 우리에게 전해오는 신화들의 초기 원형을 만들어냈다.
그들이 만든 북유럽 신화의 주요 배경은 신들의 세상 아스가르드,
인간들의 세상 미드가르드, 거인들의 세상 요툰하임, 죽은 자의 세상 니플하임이다.
이 배경들 속에는 다양한 신, 거인, 난쟁이, 요정 인간들이 있는데
여기서는 우리가 제법 들어본 오딘, 토르, 로키를 주로 살핀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904/pimg_7918311082288998.jpg)
바이킹이 광포하고 무모하다는 이미지를 가진 것과는 달리
그들은 생명 자체를 존중했으며 우정을 소중히 여기고 찬양했다.
토르는 육체노동자, 즉 농민 계급의 수호신이었고 오딘은 귀족계급의 수호신이었다.
다른 신화들이 세계의 중심에 나무나 기둥 혹은 산을 두듯
바이킹의 우주론인 세 개의 수평면과 아홉 세상의 축은 역시
거대한 물푸레나무 이그드라실에서 비롯되었다고 나온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904/pimg_7918311082288999.jpg)
모든 이의 아버지라 불리는 오딘은 그리스 로마 신화로 치자면 제우스.
그는 죽은 자들의 지혜를 배우기 위해 옆구리에 창을 찌른 채
아흐레 동안 이그드라실 나무에 자발적으로 매달려 있었다고 한다.
이는 오딘이 초기 게르만의 전쟁 신들의 성격을 이어받은 전투의 신이라는 것과 상통하며
영웅에게는 전투의 영감을, 시인에게는 시를 짓는 영감을 불어넣는 존재감을 내뿜는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904/pimg_7918311082289000.jpg)
오딘과 대지의 아들인 토르는 질서를 나타내는 신으로,
쇠망치 묠니르로 거인들을 억제하고 세상의 뱀을 잡아올릴 정도로 완력이 대단했으며
자작농을 옹호하는 등 가장 존경받고 사랑받는 존재였다.
영화 어벤저스의 히어로로 등장할 만하군!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904/pimg_7918311082289001.jpg)
두 거인의 아들이자 오딘의 의형제 로키는 예측 불가능한 성격 때문에
신화에 역동성을 불어넣었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사람들을 속여먹고 신들을 위험에 빠뜨렸다가 구해주는 교활함을 발휘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로키는 잔인한 약탈자로 변해 신들에게 적의를 드러내고
족쇄에 구속되기도 하며 거인들과 괴물들을 이끌고 신들과 영웅들에 맞서 전투를 벌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904/pimg_7918311082289002.png)
어벤져스의 화제성 때문일까,요즘 북유럽 신화에 관한 책이 쏟아지고 있다.
바이킹의 신들이라는 부제에 어울리게 바이킹과 관련지어 신화를 다루고 있는데
서문부터 흥미롭다.
위에 간략하게 소개한 신들 말고도
오딘의 아내이자 가정의 여신 프리가, 죽은 자들을 선별하는 발키리, 신들의 파수꾼 해임달,
용감한 전쟁의 신 티르, 청춘의 여신 이둔, 순수함과 정의와 빛의 신 발더, 풍요의 신 프레이르,
사랑과 미의 여신 프리이야, 바다의 신 아에기르, 시와 웅변의 신 브라기까지
토르, 스타워즈, 어벤져스, 라그나로크 등 다양한 콘텐츠의 뿌리가 된 이야기들 속으로 들어가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