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하는 삶 - 여성의 몸, 욕망, 쾌락, 그리고 주체적으로 사랑하는 방식에 관하여
에이미 조 고다드 지음, 이유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여성의 성적 자존감에 대한 이야기, 섹스하는 삶







어려서부터 나는 '여자는 조신해야 하고 남자의 리드를 따라야 하며
모든 걸 남자들에 맞춰야 한다'라는 교육을 받아왔다.
굳이 누가 시간을 내서 여자들을 앉혀놓고 가르친 게 아니다.
일상 속에서 우리는 당연히 그렇게 자랐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자란 우리 또래들 중
만약 여자가 섹스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꺼낸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먼저 섹스를 원한다고 말한다면?
아, 빤히 보인다. 남자들의 반응이, 아니 여타 여자들의 반응도!
당당한 요구라니, 그런 건 누구의 머릿속에도 없을 듯하다.
맞다. '헤픈 여자'. 그 이미지만 남을 것이다.

그럼 요즘 아이들 사이에서도 그럴까?
우리의 후배들이나 자녀들은 성적으로 많이 개방된 사회에서 살고 있다는 느낌이다.
그들은 사귀면 바로 손잡고 키스하고 섹스한다.
다 그렇다는 건 아니지만 나 어렸을 적보단 확실히 달라지긴 했다.
사귀면서 해외로까지 여행을 함께 떠나는 게 아무렇지 않을 정도니까.


 



성적 주체성은 자신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통제력 및 지배권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당신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권력은 당신의 손안에 있다.




결혼과 동시에 여성은 누군가에게 '주어진다'.
정말 비극이다.
여성은 계속해서 남성들에게 주어지는 삶을 살아간다.
계속 주어지는 삶을 통해 여성은 섹스얼리티에 둔감한 채 살아간다.
한 번도 제대로 배운 적 없는 여성의 몸, 욕망, 쾌락, 주체적 사랑 방식까지
그 무엇도 원하는 대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터부시해왔다.
오히려 원하는 그것들을 감추고 무시하고 아닌 척함으로써
무언가 해소되지 않는 불만족감을 안고 지낸다.


 

 

 


성적으로 내 자신을 표현하고,
삶에서 가장 은밀하고도 취약한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요청하는 언어를 배움으로써,
나는 성적인 상황 이외의 다른 문제에서도
그렇게 할 수 있는 용기를 얻었어요.


 

 


당신의 섹슈얼리티를 손상시키는 것들.
1.그릇된 신념
2.'어떤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
3.수치심
4.죄의식
5.트라우마

 

 

 

 



뉴욕대에서 성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섹슈얼리티 분야에서 20년 이상 활동해온
저자 에이미 조 고다드는 저서 "섹스하는 삶"에서
성적으로 이끌림을 당하고, 파트너의 욕망을 따르도록 살아온 여성들이
스스로의 욕망을 파악하고, 주체적으로 섹스하며,
이로 인해 여성으로서의 자신감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려고 애쓸 것이 아니라
자신이 무엇으로 즐거운지 알아내라고 말하는 저자.
여성에게 섹슈얼리티란 어떤 의미며,
섹스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떤 성 생활을 운용해 나아갈 것인지,
주체적으로 성을 누리는 사람을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측면의 성 지침서 "섹스하는 삶"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