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하게 해줄게
소재원 지음 / 네오픽션 / 2019년 5월
평점 :
평범한 하루의 마무리, 행복하게 해줄게
평범하지만 가장 아름다워야 할 '우리' 이야기
수많은 사람 중 하나로 취급되는 이 시대에 난,
그녀로 인해 특별하고 소중한 존재로 살아갈 수 있었다.
오늘은 '우리'에 대한 이야기를 읽는 날인가 보다
여기 "행복하게 해줄게"에도 '우리'가 있다.
부부 세영과 상진, 그 딸 유연과 가족과 대면하기 직전인 세영 배 속의 콩딱이.
'가난한 흥부네 집에 아이들이 많은 이유'가 뭐냐는 우스개가 한동안 유행했는데
세영과 상진 부부는 이에 대해 소심한 듯 대담하게 항변한다.
자신들의 삶을 낱낱이 보여주면서 희망을 품는 것, 삶을 이뤄가는 것에 대해
누구도 특권의식을 가져선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만삭의 세영은 상진이 집에 들어오기 전까지 잠을 이루지 못한다.
상진이 다니는 공장의 급여가 적고 반년이나 밀린 탓에 그는 새벽까지 대리운전을 한다.
하지만 뺑소니 사고를 당했고 그 아픈 몸을 이끌고 다시 대리운전에 나간 것이다.
불행한 일은 한꺼번에 온다고 했던가,
세영은 집으로 와야 할 남편으로부터 갑작스런 연락을 받고,
이들 가족에게는 또다시 감당하기 어려운 사건이 닥치는데...
무식해서 가난한 거 아니에요.
가난해서 무식한 거예요.
월급을 받지 못해도 노동청에 신고하지 않는 건
무식한 게 아니라 불이익을 당할까 두려운 것뿐이라고요.
상진은 부러진 쇄골 때문에 수술을 받아야 하고
콩딱이는 예정일을 지나도 나올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돈이 드는 유도분만은 꿈도 못 꿀 일.
세영은 딸을 언니에게 맡기고 세영은 뺑소니범을 잡아달라며 경찰서를 찾고
병원비를 마련하려고 기초수급자 생활을 하는 친정을 찾는다.
누구 하나 형편이 좋지 않음에도 시아주버니는 선뜻 그나마 모아둔 돈을 전해오고
시어머니는 아들 새끼를 품은 세영이 임신한 걸 자책할까 봐
삶의 희망이 꾸준히 이어지지 않는 것에 절망할까 봐 안쓰러워하는데...
못 배워서 우리가 이렇게 산다고 생각혔었지.
그래서 너희는 그리 살지 말라고 공부시켰던 거여.
그럼 다 잘살 줄 알았지.
소설 내내 제일 많이 반복되는 말이라면 단연 '행복하게 해줄게'다.
상진과 세영은 가난한 삶을 살아가지만 그 안에서 서로를 사랑하고 위로하며 아낀다.
그들은 '우리'라는 울타리 안에서 행복을 맛보고 있으며
이 행복이 외부적 상황에 의해 쉽게 상실되어서도, 훼손되어서도 안 된다는 것을
온 몸으로, 온 마음으로 표현한다.
감사한 것만을 생각해보자.
적어도 아직은 우리가 함께한다는 것에.
그래야 작디작은 희망이 떠나지 않고 남아 있을 테니까.
임신한 아내를 위해 크림빵을 사 들고 새벽에 귀가하던 화물차 기사가
뺑소니 사고로 숨진 일명 '크림빵 뺑소니 사건'을 모티브로 작품을 집필했다고 밝힌 작가.
작가는 평범한 삶에 끼어든 불행과 슬픔을 따뜻한 시선으로 응시함으로써
'행복'의 소중함과 가치를 말하고자 했으나 나로서는 일면 답답했던 소설.
가치관의 중심이 어디에 있냐에 따라 이 소설은 감동적일 수도 있음이다.
실제로 많은 독자가 이 소설에서 '희망'과 지속 가능한 '사랑'과 '우리'를 발견했다고 리뷰를 남겼으니까.
오늘 '진정한 행복의 조건'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 시간, 가져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