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의 꽃 - 2019년 50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최수철 지음 / 작가정신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의 꽃, 늪에 빠진 거야

 

 

 

 

 

'나'는 곰팡이가 퍼렇게 슨 음식들에서 곰팡이가 슨 부분을 잘라내고 먹었다.

그리고 독성 물질에 감염되어 한 종합병원으로 옮겨졌다.

모두들 내가 자살을 기도한 것으로 간주했다.

하지만 꼭 그런 것도 아니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아니었다.

나는 아직 정신이 제대로 돌아오지 않은 것인지 혼몽했다.

그리고 같은 병실, 의식 없는 듯 있는 듯 누워 있는 조몽구의 이야기가

귓가로 쏟아져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는 강한 독성 물질에 감염되었는지 신경계와 면역계가 심하게 손상된 상태였다.

사람들이 있을 때는 그저 잠에 빠져 있는 듯보였지만

그는 아무도 없는 때, 아니 나만 깨어 있는 때를 틈타 계속 중얼댔다.

마치 나를 마비시키려는 것처럼...

 

 

 

 

 

 

요컨대 독과 약은 서로 대립되는 존재처럼 보이지만

과학적으로는 차이가 없고,

다만 얼마나, 어디에서, 무엇과 함꼐 사용하느냐에 따라

독이 되거나 약이 된다는 것이었다.

 

 

 

 

이야기의 시작부터 끝까지 온통 독 천지다.

조몽구는 자궁에 있을 때부터 독에 노출된 느낌으로 등장한다.

그는 태어나서도 일종의 독에 인생이 묶인 채로 살아간다.

아버지의 독, 어머니의 독, 삼촌의 독, 초중고 학창시절 부대낀 사람들,

대학 때며 군대에서 혹은 기자가 되었을 때도  

우연한 만남처럼 보이지만 어쩌면 필연이었던 사람들에게서조차

그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수없이 많은 독을 '입고' 산다.

그리고 어느 순간 세월을 되돌리듯 어렸을 적 인연들과 마주친다.

마치 읊조림처럼 오랜 시간 이어지던 조몽구의 이야기는 비로소 끝이 났다.

그런데 이상도 하지, 엊저녁에도 조몽구의 이야기는 계속되었는데

간호사는 조몽구가 사흘 전에 죽었다고 말한다.

어느새 밤, 이제 나의 병실에 또다른 조몽구, 동물도 아니고 식물도 아닌 존재,

온 몸이 부드러운 털 같은 가시로 덮인 괴물이 나타난다.

문득 호접지몽스럽다.

혹시 그 괴물은 어쩌면 '나'일까?

 

 

 

네가 너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면,
온 세상이 너를 사랑해도,
그건 개미 한 마리가 너를 사랑하는 것보다 못하다는 거야.

 

 

 

 

세상의 모든 것은 독인 동시에 약이라고 주장하는 소설이다.

별의별 꽃과 풀, 동물, 광물이 등장하고

그것들이 품고 있는 온갖 종류의 독과 그 해독방법도 나온다.

이토록 적나라하게 풀어가는 내내 그 기저에서는 인간의 의식,

이기심, 증오, 분노, 공포, 탐욕, 호색 등 갖가지 정신적 작용을 독으로 치부한다.

태초에 독을 몸에 지닌 채 태어나 성장과 더불어 독마저 키워나가고

독과 약을 동시에 품고서 죽음에 이르는 한 남자 이야기.

그걸 내내 열린 귀로 듣고 있는 또 한 남자.

어쩌면 그 둘은 같은 인물일지도.

판단은 '나'의 몫이라며 이렇게 독자를 조롱하는 건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