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승달
모리 에토 지음, 권영주 옮김 / ㈜소미미디어 / 2019년 1월
평점 :
절판


초승달, 아이들은 저마다

자신의 타이밍에 자신의 방식으로 날개를 펼친다

 

 

 

 

 

진짜 교육이란 무엇이고, 진짜 교육자란 무엇일까?

 

 

 

 

 

학교 조무원으로 일하는 오시마 고로,

그는 대학을 나오지는 않았지만 아이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을 제대로 짚어내

본의 아니게 조무원실에서 아이들의 방과후수업을 비공식적으로 담당하게 된다.

그런 고로를 찾아온 지아키.

그녀는 자신이 군국주의적 제도 하에서 받은 교육에 불만을 품은 채

공교육과 대립각에 놓일 수밖에 없는 사교육을 하려는 꿈을 키우고 있다.

그 동반자로 고로를 찍은 지아키는 그의 부정행위를 학교에 고발함으로써

오갈 데 없어진 그를 학원 사업에 끌어들인다.

 

 

지아키의 엄마 요리코와 딸 후키코, 여자 셋의 삶에 뛰어든 고로.

하지만 쉽지 않다.

강인하고 포부가 큰 지아키와

인정 넘치고 부드러운 성향의 고로는

학원 수업 방식이나 운영 방식에서도 대립을 보이고 갈등을 빚는데...

 

 

 

 

 

 


어떤 아이든 부모가 해야 할 일은 하나야.

인생은 살 가치가 있다는 걸 자기 인생으로 가르쳐주는 것뿐.

 

 

 

 

 

걱정스런 딸아이의 성향에 대해

부모로서, 아버지로서 어떻게 해야 할지를 묻는 고로에게

장모 요리코가 대답한다.

아, 이게 나에게는 참 어렵다.

그래서 완전 공감 백번 누르고 싶었다.

 


일본과 한국에밖에 없다는 독특한 문화, 학원.

오, 이 사실도 처음 알았다.

공교육의 반대 입장에 서 소외받은 아이들을 사교육으로써 구제하고자 했던 지아키는

그러나 초심을 잊고 입시와 출세, 엘리트 양성을 위해 매진하다가

결국 고로를 원장 자리에서 내쫓고 이혼까지 하고 만다.

물론 이혼의 이면에는 다른 사연도 숨어 있었지만!

 

우리나라 사교육 현장과 정말 똑 닮은 일본의 사교육 현장.

나오키상 수상 작가 모리 에토는

베이비붐 세대의 치열한 입시경쟁과 성적에 매달리는 시기의 부작용,

저출산에 따른 사교육의 변천을 50여 년의 세월에 담아 고스란히 드러낸다.

 

대를 이어 교육 현장에 뛰어든 오시마 가족,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이란 무엇인지,

교육이란 무엇인지,

교육자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게 하는 소설

"초승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