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 너머의 한국 고대사 - 왜곡과 날조로 뒤엉킨 사이비역사학의 욕망을 파헤치다
젊은역사학자모임 지음 / 서해문집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욕망 너머의 한국 고대사

 

 

 



사이비역사학
역사학과 비슷하게 보이기 위해 흉내를 내지만 학문의 본령에서는 벗어난 가짜 학문.
유사역사학, 의사擬似역사학, 영어권에서는 슈도히스토리라고 한다.
우리나라 사이비역사학은 쇼비니즘chauvinism과 밀접히 결합돼 있다는 점에서 특히 큰 위험성이 있다.

 

 

 

 

'욕망 너머의 한국 고대사'라는 제목이 붙여진 이유를 나타내주는 대목이다.
문자화된 기록이 극히 적고 그나마 드러난 고고학 자료도 극히 적어
역사적으로 입증이 어려운 수수께끼의 나라 고조선.
기원전 108년 고조선이 한 무제에게 패망하고 난 후 설치된 낙랑군 등 주요 정치체의 위치에 대해
젊은역사학자모임은 사이비역사학자들의 주장을 그 근거,
즉 《삼국지》와 《후한서》의 기록을 토대로 삼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그러나 이덕일(!)을 비롯한 사이비역사학자들은 낙랑군의 위치를
한반도의 평양이 아닌 중국 허베이성 일대로 규정함으로써
평양에 있었다는 인식에 식민사학이라는 굴레를 씌운다.
이는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한 선동이었음이다.
이들이 낙랑군을 한반도 밖에 있었던 것으로 주장하는 이유는
고대 한반도 내부에 외부 세력이 설치한 식민지가 존재했다는 것이 싫다는 식민지 콤플렉스와
고조선이 대륙의 일부를 차지했던 아주 큰 나라였다는 영토적 허영심 충족에 있다.

 

 

 

 

 

 

고조선을 비롯해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에 이르기까지
주요 논쟁거리를 다양한 사료와 유물 해석, 연구의 역사를 통해 비교 분석해놓았다.
대학원 과정에 있거나 이제 막 박사학위를 취득한 젊은 연구자들이
사이비역사학이 우리 사회에 끼치는 폐해가 크다는 판단하에 나선 것이다.
시민들과 소통하기 위해 젊은역사학자모임이
<한겨레21>에 7회에 걸쳐 연재한 글들을 뼈대로 만든 책 《욕망 너머의 한국 고대사》.
일단 역사학자들끼리의 논쟁이 이루어진다 싶어 어려운 내용이 아닐까 지레짐작한 것과 달리
아주 술술 읽힌다는 게 장점.

특히 이성호 연구원의 '생존을 위한 전쟁, 신라의 삼국통일' 편을 재미있게 읽었는데
어쨌든 신라는 국가 존망의 위기에서 당시의 생존 전략이었을 외세를 끌어들인 데 대해
신채호 선생의 의도와 관계없이 나는 아쉬운 마음이 더 크다.
백제가 혹은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더라면, 이라는 가정을 고등학생 때부터 해봤기 때문일까.
어머, 너무 멀리 가는 것 같군.
여튼 이 책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의 국민이 읽으면 참 좋겠다 싶다.

 

 

 

 


쇼비니즘: 사회 국가의 이익을 위해서는 방법과 수단을 가리지 않는 광신적인 애국주의나 국수적인 이기주의.
프랑스의 연출가 코냐르(Cognard)가 지은 속요 <삼색 모표>에 나오는,
나폴레옹을 신처럼 숭배한 프랑스 병사의 이름 니콜라 쇼뱅에서 유래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