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늙은 여자 - 알래스카 원주민이 들려주는 생존에 대한 이야기
벨마 월리스 지음, 짐 그랜트 그림, 김남주 옮김 / 이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늙은 여자, 오랫동안 체화한 삶에 대한 생존 기술이 있었다!

 

 

 

 

 

알래스카 인디언의 특별한 생존기

 

 

 

 

 

 

겨울 기근이 닥쳐 부족 전체가 굶어죽을 위기에 맞닥뜨리자

알래스카 그위친 부족의 우두머리는 그동안 돌보아온 두 노인을

눈벌판에 남겨두고 가기로 결정한다.

언제나 상석에 앉아 늘 먼저 음식을 먹던 두 늙은 여인은

이제 눈보라가 휘몰아치는 얼음 벌판에 단둘이 남겨졌다.

그들은 오랜 세월 동안 만족할 줄 모르고 불평했던 삶을 반성한다.

하지만 이미 늦었다.

딸마저 자신을 두고 가는 데 반대의 목소리를 내지 않고 외면한 것에

'칙디야크'는 수치심을 느끼고 깊은 절망에 빠진다.

 

 

 

 

 

 

 

추위가 뼛속까지 파고들고 가까운 곳에서 맹수의 울음소리가 들린다.

배는 점점 고파오고 추운 밤은 몹시 길다.

두 늙은 여인은 공동체를 위해 열심히 살았던 과거를 반추하며

무력감과 배신감에 눈물을 흘린다.

이제 정말 죽을 일만 남은 듯했다.

하지만 칙디야크와 함께 남겨진 '사'는 의지를 다진다.

사는 부족민들이 자신들에게 선고한 죽음을 받아들이기 싫었다.

그녀는 지난날 열심히 살았고 열심히 일했으며 살 권리가 있었다.

그래서 그녀는 악착같이 살아남기로 결심한다.

 

"친구야, 어차피 죽을 거라면 뭔가 해보고 죽자고!"

 

칙디야크와 사는 야영지 주변에 토끼를 잡을 덫을 놓고

겨우겨우 배고픈 정도만 면하며 삶을 꾸려가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 혹독한 추위에 먹을 것도 자급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자

그들은 오랫동안 잊고 지냈던 생존 기술을 떠올린다.
이제 늙은 몸은 종일 쉴 틈이 없다.
비상식량과 각종 짐을 끌고 목표로 삼은 장소로 가기 위해
무거운 발걸음을 뗄 수밖에...

 

 

 

 

 

 

 

 

두 노인을 버리고 떠난 부족은 그 후로 1년 동안 굶주림에 시달리다가

노인들을 버렸던 장소로 돌아온다.

생존을 위해 짐이 되는 노인들을 버렸으나 크게 나아진 게 없는 삶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버려졌던 두 노인은 건강하게 생존했으며

많은 식량과 비품을 비축한 상태로 삶을 꾸리고 있었다.

이제 두 노인은 자신들을 버렸던 부족이 이번에는 자신들의 식량 등을 탐해

모든 것을 빼앗아가지 않을까 걱정에 휩싸이는데...

 

생존의 문제 앞에서 우리에게 인간다움과 배려와 사랑은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는 책

≪두 늙은 여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