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남들의 세계사 - 2014년 제47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죄 3부작
이기호 지음 / 민음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고 한 오해는 오히려 너무 낭만적였다. 집안의 둘째가 겪는 서러움일 줄 알았던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또 공감해 줄 부분이, 이야기할 부분이 많지~ 하면서.. 아들러 심리학도 들먹거리며 책을 펼쳤다.

아~나의 편견과 오해와 그것을 건넌 오만은, 그래 너무나 낭만적였다고 실토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여기서의 차남은 권력의 중앙에서 밀려난 자들, 누아르를 살았던, 아니 만들었던 '전두환'과 그 핵심에서 비껴난 사람들

어쩌면 차별, 어쩌면 오해, 어쩌면 편견 같은 절망,,

그 속에서 아등바등 살아 남아야 했던 사람들이 일을 만들고 키운 것이다. 아주 치열하고 맹렬했다. 나름은ᆢ

후반부에 소설가 지망생이었던 안기부의 차남 '정남운'이, 우리의 주인공 '나복만'이 쓴 것처럼, 보좌 신부님께 보내는 편지에

[카인과 아벨] 이야기가 나온다. 

그 이야기가 그래서 너무 재미난 것이다.

능청스럽게 이야기의 서문을 여는 작가의 패러독스와 유머에 제대로 걸려들어, 쭉~ 내달리면서 ㅋㅋㅋ를 연발 내뱉을 수밖에..

안짱걸이가 걸린 씨름선수처럼 제대로 넘어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 뒤에 엄청난 누아르를 만들었던 '전두환 장군'이 있었다.

웃으면서 아프고 웃기면서 기가 막혀 혈을 뚫어야 싶게 만든다.

'성석제' 작가를 떠올리고, '천명관' 작가의○○ 법칙도 떠올리게 된다. 그리고 [책 읽어 주는 남자]도 떠올리게 된다. 거기서의 '한나'의 문맹은 슬프지만 거룩했고, 여기서 '나복만'의 문맹은 어이없어서 웃음이 나지만 또 다른 거룩함이 있다.

나는 왜 이 작가를 이제 알게 되었는지, 그나마, 이웃 후*님 아니었더라면 그렇게 흘려보냈을 존재였을 것이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별 뜻 없지만(?), 감흥을 돋게 하고, 작가나 독자가 모두 호흡을 조절해야 하는 기능을 하는 고려속요의 후렴구 같은 작가의 장치(추임새)에 먼저 익숙해져야 한다.

[청산별곡]의,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같은, [어부사시사]의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정읍사]의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같은,

이것을 들어보아라~~

이 이야기는 '전두환' 통치 시절의 이야기이다. 1980년 8월 27일 체육관을 좋아했던 '전두환 장군'의 체육관 선거 이야기부터 시작된다.

그때 '전두환'은 '박정희' 피격사건의 수사관이었는데, 그는 독재자 살인사건을 수사하다가 스스로 독재자가 되어버린 주인공이다.

그리고 부산 미 문화원 방화사건이 발생하고 그들이 숨어든 곳이 강원도 원주의 성당이었고, 그동네서 택시를 몰던 '나복만'이 새로운 통치자의 누아르에 휘말려 바라던 삶이 붕괴되어 버리는 웃픈 비련의 주인공이 된다.

30년 남짓 한 시간이 흘렀고, 그때 그 주인공 '나복만'은 아직도 수배 중인 상태로 행방불명이다.

여러 등장인물들의 운명이, 주인공의 기구한 삶만큼이나 롤러코스터를 타게 된다.

누아르 자체였던 그 시대의 서민들 삶이 다 이렇게 어처구니가 없었던가 한다.

끊이지 않는 사건 사고들이 누아르 주인공의 수사기법과 통치철학을 바탕으로 펼쳐지고 매듭지어진다.

'노태우' 취임 이야기, '전두환'의 처삼촌 처제인 '장영자' 이야기, 경남 의령군 순경의 총기난사사건들이 조미료처럼 등장한다.

그리고 갑자기 우즈베키스탄으로 날아간다. ㅋㅋ

조폭의 종속이론이자 자본 운동의 원리 또한 기가 막혀서 쓴웃음을 지어야 했다.

처음 만난 '이기호' 작가, 그의 기발한 상상력은 능청과 익살 가득한 해학적인 소설로 강렬하게 다가왔다.

아주 쉽게 재미나게 읽을 수 있는, 올여름의 무더위와 정면 대결하라고 자신 있게 내세울 수 있는 책이다.

 

 

 

때때로 평온하게만 보이던 우리의 일상이 부욱, 소리를 내며 찢어진 후, 그 틈에서 낯선 손 하나가 불쑥 튀어나올 때가 있다. 어쩌면 그 순간이야말로 의식 중이든 무의식중이든 우리가 감추고자 애를 쓰던 유일한 진실이 눈앞에 나타나는, 아프지만 흔치 않은 기회이기도 한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을 외면하기에 급급해한다. 그만큼 우리의 진실이 더럽고, 하찮고, 추악하고, 섬뜩한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문제는 우리가 그것을 외면하는 방식이다. 그 손이 마치 다른 사람의 것인 양, 자신의 손이 아닌 것처럼, 다시 틈 안으로 억지로 욱여넣고 겹겹이 시멘트를 발라 버린다. 그리고 시멘트를 바르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 안의 또 다른 괴물을 눈앞에 호명해 낸다. (사실, 그 낯선 손은 이 괴물의 손이기도 하다.) 그렇게 불러낸 괴물이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제멋대로 날뛰고, 제멋대로 우리를 이끌어 가도, 우리는 스스로 괴물을 통제하고 있다고 착각한다. 어쨌든 괴물 덕분에 우리는 다시 진실을 외면할 수 있었으니까. 고마운 괴물이니까..... 그것이 우리가 우리를 잃어버리는 기본 공식이다. 232-2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