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들의 사생활 - 이승우 장편소설 문학동네 한국문학 전집 7
이승우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군가 그 작가의 이 작품이야말로 노벨상 추천작이라 했다는 어디선가 보았던 기억이 나로 하여금 이 책과 그 작가에게 관심을 갖게 했다.

급 레스토랑 민들레의 주인인 엄마, 밖으로만 돈다는 능숙한 수완가인 그녀 이름은 서영숙, 그리고 하루 종일 바둑 채널과 정원 식물 가꾸는 것이 전부인 아버지, 그리고 군대에서 폭발물 사고로 다리를 잃고 돌아온 형 우현과 그 형의 애인을 짝사랑해서 억지 부리다 가출하고 돌아와서 형의 비극과 대면하는 기현, 이 가족이 식물처럼 사랑했고, 또 사랑하는 이야기이다. 소나무를 휘어감은 때죽나무와 그 네 사람과 형의 애인 순미, 그리고 어머니의 평생 잊지 못하는 첫 남자, '남천'이라는 남해의 바닷가에 지어진 그림 같은 집, 태평양을 건너온 씨앗이 자라난, 커다란 야자나무, 그리고 형이 가고 싶어 하는 피안의 세계 물푸레나무와 형 우현이 수집한 나무들의 변신 이야기와, 식물과 대화하는 아버지.. '모든 나무들은 좌절된 사랑의 화신'이라고 말하는 우현의 말이 이 이야기의 전부를 지배한다.

위 현장을 사진으로 기록하던 대학생 형 우현은 엄마의 사랑과 기대 안에서 살고, 기타 치며 노래를 잘 부르던 순미와 애인 관계이다. 재수생 기숙학원에서 빠져나와 가출했다가 마음잡고 공부해 보려던 기현은 순미의 등장에 한눈에 반하고, 그녀의 형을 향한 노래를 들으며 자신의 사랑을 키운다. 그리고 주체 못하는 자신의 감정을 못 이겨 해프닝을 벌이고는 형의 카메라를 들고 가출한다. 그리고 그로 인한 엄청난 파장이 일고 형에게 빚을 지게 된다. 연꽃 시장이라고 하는 사창가에 다리 없는 형을 업고 들여보내는 모자의 은밀한 의식을 목격하면서 기현은 한없는 분노와 책임감이 생겨나고, 엄마를 미행하면서 '남천'이라는 비현실적인 장소에 가게 되고, 역시나 비현실적인 야자수 아래서의 식물 같은 남녀의 사랑을 보게 된다. '남천'이란 장소는 엄마의 첫사랑의 도피처이고, 그곳에서 아이를 낳은 신성한 곳이고, 그런 그녀를 아버지가 지켰던 곳이고, 그 운명적 사랑이 운명한 곳이고, 바다를 마주하는 두 슬픈 나무의 뿌리가 밤마다 뻗어나가 바다 한가운데서 만난다는 순미의 꿈이고, 기현의 상상이고, 우현의 신화이고, 엄마와 그 첫사랑의 세상에 드러나지 않는 공간이었던, 작가에게는 '성소(聖所)'인 곳이다.

음 도입 부분의 조금 충격적인 연꽃 의식에서 흐름을 쫓아가다가 중간중간 채식주의자 생각도 나고, 나무들처럼 사랑한, 식물들처럼 사랑한 이 글의 주인공들을 작가는 따뜻하게 감싼다. 그리고 다른 시간과 다른 공간을 살아가는 가족의 화해랄까 그런 결말이 너무 좋았으며, 가장 이해할 수 없었던 아버지란 존재의, 기현을 향한 '너희 어머니는 순결하다.'이 대목과 여전한 그의 사랑과 그 사랑의 대상인 어머니..

'사랑은 다 다르다. 사랑한다는 내용은 같아도 사람들이 사랑을 하는 방식은 하나도 같지 않다. 백 명의 사람들은 백 가지 방식으로 사랑한다. 그러니까 특별하지 않은 사랑은 하나도 없다.' 엄마의 사랑도, 아버지의 사랑도, 순미의 사랑도, 우현의, 기현의, 그리고 잘못된 형부의 사랑도, 그냥 사랑은 사람마다 다다르다. 식물들은 그런 사랑이 옳다 그르다 판단하지 않는다. 그냥 사랑하고, 그냥 기대고, 그냥 욕망할 뿐이다. 중간중간 후렴구 같은 반복이있다. 작가의 스타일인가 했으며, 이야기의 전환이 섬세하나 군더더기없고 힘차다는 느낌ᆢ다른 작품에서도 곧 만나지기를 ..

 

 

모든 기록은 기록하는 자의 시각과 입장을 반영한다. 사진을 찍는 자는 카메라의 앵글이나 초점을 통해 자신의 시각과 입장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럴 때 문제 삼을 수 있는 것은 그 시각과 입장의 윤리적 기반이다. 사진을 찍는 자의 앵글과 초점은 윤리적 앵글이어야 하고 도덕적 초점이어야 한다. 그것이 형의 사진론이었고, 그것이 그가 한사코 사진의 예술로서의 지위에 눈을 돌리지 않으려 하는 이유였다.

그렇게 왔다, 사랑은. 마치 눈에 띄지 않는 사이에 꽃봉오리가 벌어지듯이, 그렇게 천천히. 사랑이었을까. 그것이. 그러나 사랑이 아니라면 그것이 무엇이란 말인가.

나무가 된 뒤에도 그들은 욕망과 사랑의 감정을 지워버릴 수 없다. 나무가 된 뒤에도 그들의 욕망과 사랑의 감정은 사라지지 않는다. 아니. 나무가 된 뒤에야 비로소 그들은 그들의 욕망과 사랑이 감정을 스스럼없이 표출할 수 있게 되었다. 나무가 됨으로써 그들은 사람으로 있을 때는 이룰 수 없었던 사랑을 이루었다. 나무는 욕망하고 사랑한다. 나무는 누구보다 더 크게 욕망하고 누구보다 더 간절하게 사랑한다. 큰 욕망과 간절한 사랑이 그들을 나무가 되게 했다.

사랑은 다 다르다. 하고 나는 나에게 말했다. 사랑한다는 내용은 같아도 사람들이 사랑을 하는 방식은 하나도 같지 않다. 백 명의 사람들은 백 가지 방식으로 사랑한다. 그러니까 특별하지 않은 사랑은 하나도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