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사 편지 생각책 3 - 조선 건국부터 조선 후기까지 ㅣ 12살부터 읽는 책과함께 역사편지
박은봉.생각샘 지음, 김중석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14년 12월
평점 :
학창시절에는
한국사가 재미있는 과목이었으나 교양보다는 수험목적으로 공부하였고 이제 손을 놓다가 초등학생 두 아이의 아버지가 되고 나서 갑자기 한국사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독서나
박물관 견학은 기본이고 대학교수의 동영상도 들으면서 차츰 견문을 넓혀가고 있지만 문제는 아이들이었다.
일단
박물관 견학을 아주 싫어하고 (체험에
익숙해져 있어서)
책은
읽는 편이지만 비중이 다소 적은 삼국시대에나 관심많고 조선시대에는 이순신장군 이외에는 자세히 들여보지 않는 듯 했다.
이
책은 워크북이다.
단순히
어려운 책만 가지고 한국사를 이해하기 힘든 아이들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아이들이 체험을 통해 한국사에 흥미를 갖도록
만들어졌다.
외우는
역사가 아닌 느끼고 생각하는 역사를 구현하기 위해 어린이들이 직접 참여한 현장감 넘치는 문항과 답안을 포함하여 <한국사
편지>와
함께 공부하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의 구성은 프롤로그,
생각한걸음,
생각
두걸음,
깊이
생각하기,
생각
펼치기,
역사와
뛰놀기,
역사
공감하기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말미에 활동자료와 지침서가 있어 분리해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 책을 시작하기 전에 <한국사
편지>의
해당 단원을 읽고나서 하면 도움이 될 것 같은데 솔직히 <한국사
편지>를
구입하지 않아서 그냥 워크북으로 공부하기는 쉽지 않았다.
01.
조선은
어떻게 건국되었나?
최영과
이성계의 다른 선택,
그들은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물음으로 시작하여 <생각한걸음>에서는
6가지
질문을 쏟아낸다.
예를
들면,
요동
정벌을 떠난 이성계가 군사를 돌린 사건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이런
문제는 쉽지만,
‘이성계와
신진 사류가 권문세족의 농장을 없애기 위해 만든 새로운 토지 제도를 무엇이라고 하나요?’라는
문제는 쉽게 답을 하기가 어려워진다.
<생각
두걸음>에서는
14세기말
동아시아의 상황을 나타내는 지도를 보여주면서 네가지의 문제를 내고 있다.
그
중 하나는,
‘고려가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막아내면서 고려 내에서 어떤 세력이 커졌을까요?’는
확실히 책만 읽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스타일이어서 아이들이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것 같아 보인다.
<깊이
생각하기>에서는
완전히 주관식 서술형이다.
과연
초등학생 아이들에게 이런 정도까지 시켜야 하냐는 의문도 있을터이지만,
문제가
그리 어렵지 않은 수준이기에 아이들끼리 토론을 한다면 재미있는 시간이 될 것 같다.
예를
들면,
‘신진
사류인 정도전과 정몽주는 고려의 변화에 대한 주장이 달랐습니다.
두
사람 중 누구의 주장이 옳다고 생각하나요?
이유와
함께 이야기해 보세요.’
<생각
펼치기>,
<역사와
뛰놀기>는
체험현장을 책으로 옮겨서 뭔가를 하면서 한국사에 대한 흥미를 돋구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위화도 회군에 대한 기사문을 쓰거나 일월오봉도에 대해 병풍을 만들어 보는 것 등이다.
한국사편지
생각책 3는
조선 건국부터 조선 후기까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책도
읽기 힘든데 웬 워크북이냐고 할 수도 있지만 단순한 암기보다는 사고의 폭을 넓히고 체험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면서 반복학습을 통해 은연중 지식으로
쌓을 수 있는 좋은 공부방법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