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고 그름 - 분열과 갈등의 시대, 왜 다시 도덕인가
조슈아 그린 지음, 최호영 옮김 / 시공사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마음˝을 인용하고
있으며, 본질적 맥락은 유사해 보인다

직관이 먼저고 전략적 추론은 다음이다
직관은 자신의 잠재된 신념(편향일 수도)에
따라 즉시 언행으로 발현되는 무의식적 자동 모드로 효율적이나 독선적이고 배타적이다
반면, 전략적 추론은 전후 상황을 따져보고 판단하는 의식적 수동모드로 이성적이다.
그러나 전략적 추론의 이성은 직관적으로 주장한 바를 합리화 하는 역할에 한정되어
이 또한 무늬는 이성적이나 무의식적 범주에
갇혀있어 이견에 대해 타협이 어려운 거다

답을 정해놓고, 상대가 이야기하는 시간에
자기가 할 말만을 생각하고 있으니....
대표적 부족주의 사례가 아닐 수 없다

나와 우리가 아닌 우리와 그들의 관계인 상황에서 초당적인 협력이 가능치 않은거다
공익은 사익에 우선한다 그러나 이는 세계가
아닌 우리 작은 집단에 한정되는 가르침이
국가, 인종, 이데올로기, 종교간 분쟁이
끝나지 않는다.
더구나, 분쟁국의 난민이나 기타 타국의 어려운 사람을 돕는 행동조차도 우리나라 빈민을 버려 두고 왜 외국인을 돕냐고 비난하는 자들도
있는 것은 인류라는 큰집단이 아닌 작은 집단 내에서의 공익만을 강조해온 근시안적 문제라 본다.

나와 우리는 옳고 그들은 그르다는
내로남불, 我是他非의 생각이야 말로
대표적인 ˝그름˝이다
대부분은 자기가 이성적이고 옳바른 판단을
한다는 착각을 한다
신념이란 편견의 다른 말이며, 見解란
편견이란 필터를 통해 해석된 犬解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만 和而不同 할 수 있다

사람은 偏見, 先入見 百聞不如一見이라는
3마리의 개(犬)를 키우고 있다고 한다
마음속에서 기생하는 펀견과 선입견을 몰아
내고 사람들의 말을 잘듣는 一見(觀世音)을
키워보는게 어떨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견제와 균형은 자제와 관용이 전제되어야 함에도 국가나 국민이 아닌 정치꾼들,
자기만의 욕망을 실현해 줄 것 같은 黨에
단지 거수기 역할과 이전투구하는 정치
동물들에게 혐오를 느끼게 된다.

허울뿐인 민주주의는 조지 오웰이 묘사하는 돼지가 군림하는 동물농장과 같다.
아전인수식 해석으로 헌법을 농단하고 사탕발림의 포플리즘으로 국민을 농락하고
난무하는 거짓말을 합리화하며 무지한 개돼지(?)들을 세뇌하는....
지역은 물론 성별, 세대별 갈라치기로 생각이
다른 사람을 서로가 질시하는 혼돈의 세상이 되었다

한반도 38선 아래 섬과 같이 고립된 작은 나라에서 견제, 감시에 우선해서 협력하고 단결해서 트럼프, 시진핑, 푸틴과 어떻게
실리적으로 대처해야 할지를 모색해야
함에도 우물안 땅따먹기에 정신없다
적성국에 보여주는 정도만큼 이라도 관용의 미소를 상대당에도 보여준다면 국민에게
박수 받는 정치가 될 수 있으리라!!

체제경쟁을 하던 시절, 메기의 역할을 했던 공산주의라는 실체가 없어진 호시절의
민주주의는 공산체제 만큼 무력해 보인다
그래서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종북친중의
매국세력이 좀비와 같이 다시금 살아나고
있는 것인가?






[민주주의 규범의 정착]
20세기로 접어들 무렵에 상호 관용과 
제도적 자제 규범은 제대로 자리를 잡았다. 
이 두 규범은 미국 사회의 튼튼한 견제와 
균형 시스템의 기반을 이뤘다. 헌법 체계가 
우리의 기대대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가 절묘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입법부와 사법부는 필요한 시점에 대통령의 
권력을 견제해야 한다. 그 둘은 민주주의의 
감시견이다.
다른 한편 입법부와 사법부는 행정부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자제의 규범이 등장한다. 
대통령제 기반의 민주주의가 성공하기 위해
서는 대통령을 견제할 수 있는 강력한 권력
기관이 그들에게 주어진 힘을 최대한 발휘
해서는 안된다. 자제의 규범이 무너질 때 
권력 균형도 무너진다. 정당 간 혐오가 헌법정신을 지키려는 정치인
들의 의지를 압도할 때 견제와 균형 시스템
은 두가지 형태로 무너지게 된다. 

가장 먼저 야당이 입법부와 사법부를 장악
하면서 권력이 분열되었을 때 헌법적 강경 
태도가 위험 요인이 된다. 이러한 국면에서 
야당은 그들의 제도적 특권을 최대한 
휘두른다. 그들은 정부의 돈줄을 죄고, 
대통령의 사법부 임명을 전면 거부하고, 
심지어 대통령 탄핵까지 모의한다. 
이럴 때 입법부와 사법부는 대통령을 견제
하는 감시견이 아니라 투견이 된다. - P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禍福無門 唯人所召 [좌전]
(화복무문 유인소소)
재앙과 행복에는 문이 없으니
오직 사람이 불러오는 것이다

唯仁之爲守 唯義之爲行 [순자불구]
오직 인을 지키고 의를 행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好而知其惡 惡而知其善 天下鮮矣
(호이지기악 오이지기선 천하선의)

좋아하면서 그의 나쁜 면을 알고,
미워하면서 그의 아름다운 면을 아는
이가 천하에 드물다_대학 전8장(P59)

남들이 만들어 놓은 프레임이 아닌
자기 스스로가 판단하고 행동하는
주도적인 삶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워싱턴에서는 한국이 보이지 않는다 - 21세기 새로운 국가 대전략
최중경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목도모를 목적으로 외교를 하는 나라는
없다. 우리의 입장이 아닌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파괴력과 야욕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인 미, 중,
러, 일 그리고 호전적인 북한과 국경을 마주
하고 있다.
미쏘간 냉전시대가 지났지만 미중의 양대
세력의 틈바구니에 있다

북중러와 한미일이라는 체제 및 군사적 동맹 체제로 양분화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우리를 위협해온 일본 이지만
현시점에서 대중국 견제를 위하여 미국을 중심으로 한일간 오월동주는 불가피하다.

일본타도를 주장하면 애국자고 협력을 이야기 하면 토착왜구라는 근시안적 프레임은
1차원적 사고라 본다.

1592년 임진왜란, 1910년 한일합방으로
민족적 자존감과 함께 국토가 유린되는
피해를 당하였기에 일본에 대한 감정이 좋을
수 없지만 고조선, 발해를 멸망시키고 또한
끊임없이 침략을 일삼았으며 오늘날에도 동북공정으로 中華化하려는 중국은 일본이상으로 경계하여야 할 국가이다

한반도의 통일을 바라는 나라는 없다.
이해관계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을뿐이다
아마도 중국>일본>미국>러시아 순이지싶다
북한에 내분이 있을 경우 친중파 세력이 끌어 들이려 할 것이며 설사 그런 요청이 없더라도 중국은 북한지역에 병력을 투입하여 태평양으로 진출 할 수 있는 교도보를 확보 하려 할 것이다.
북러간 방위조약은 러시아 마저 끌어들일 수 있는 명분을 주게되었지만 중국의 진출을 억제
하려는 묘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김정일 조차도 일본은 백년의 적이고
중국은 천년의 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는데
미국, 일본을 적대시하고 친북친중을 하려는
노선은 극히 위험하다. 국제관계는 감정을 숨기고 철저히 이해득실을 따져야 한다.
일중러와 마찬가지로 미국도 자국중심의
전략을 취하겠지만 최소한 미국은 먼나라
이며 영토야욕이 없으므로 가까운 나라만큼 위험하지 않다.

1950년 태평양 방위구역인 애치슨 라인에서
한반도를 배제되자 김일성이 오판하여 전쟁을 일으켰던 선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적들에게 한미동맹이 강력하다는 확신을 주어야 한다.

국제사회에서 준비없이 호의를 기대하는 것은 무책임하다.
국방의 목표는 단지 북한이 아니라 중국과 일본을 억제 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트럼프라는 만만치 않은 위기를 기회로 전환 해야한다. 미군 주둔비 인상의 조건으로 핵잠 이나 핵재처리 또는 핵개발 묵인 정도의
빅딜이 필요하다
사업가인 트럼프의 needs를 넘어 Desires
를 채워줄수 있는 포인트를 공략해야 한다.
우리의 필요를 위해 워싱턴이 필요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현명하고 전략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