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常水] 물처럼 살고자 하는 마음

나는 물을 닮고자 한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되 다투지 않는다.
사람들이 기피하는 낮은 곳으로 스스로 흘러가며, 그곳에서도 세상을 품는다.
그 겸허함과 포용의 성정이 나의 지향이기에, 나는 스스로를 常水라 하였다.

노자의 도덕경의 “상선약수(上善若水)”는
내게 삶의 道다.
세상을 이롭게 하면서도 공덕을 내세우지
않는 존재, 흐르되 멈추지 않고, 고이되
썩지 않는 마음이 내가 닮고 싶은 물의 속성이다.

인간의 본성에 대해 고자와 맹자가 논쟁을 벌였듯,나 또한 스스로에게 묻곤 한다.
사람의 마음이란 그릇에 따라 선해지기도
하고, 때로는 악으로 흐르기도 하는가.
아니면 본디 선한 본성을 지녔으나 세속의 먼지가 덮여 흐릿해진 것인가.

고자는 물이 그릇에 따라 모양을 달리하듯 인간의 성품도 환경에 따라 변한다고 했다.
그러나 맹자는 물이 늘 낮은 곳으로 흐르듯, 사람의 마음도 본디 선을 향한다고 하였다.
나는 그 두 견해 사이에서 머문다.
한결같음이 신념이 되기도 하지만 신념 또한 편견이 될 수도 있음을 늘 자각하려 한다.

물은 한 방향으로 흐르되 서두르지 않는다.
바위를 만나면 멈추지만 또다시 흐르며
길을 만든다. 삶 또한 그러하리라.
흐름을 거스르지 않고, 낮은 곳으로 향하되, 스스로의 맑음을 잃지 않는 길.

그 길 위에서 나는 배운다.
타인의 이기심을 이해할 때에야 비로소
용서가 가능하며, 자신의 책임을 자각할 때
의기로움이 생긴다는 것을,

수오지심이 없는 자는 금수와 같다는
말처럼, 나는 그런 세상 속에서 부끄러움을
잃지 않으려 한다.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며 세상을 살린다.
그 겸허함 속에 가장 큰 힘이 있다.
따라서 나는 물처럼 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지금 가까워질 수 있다면 인생을 얻을 수 있다
러셀 로버츠 지음, 이현주 옮김, 애덤 스미스 원작 / 세계사 / 201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2017년에 읽었던 책을 8년이 지난 지금
다시 읽으니 당시와는 또다른 느낌이다.
뭔가를 배우려고 책을 읽지만 이미 알고
있는 만큼 밖에 이해하지 못히는건 마음에
울타리가 있어서 그렇다는 생각이든다.
미리 정해둔 境界를 警戒해야 한다.

국부론의 저자 아담 스미스는 경제학자이기
전에 本冊의 원저인 도덕감정론의 저자로서
철학자였다.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출판된 1776년에
제임스 와트 ˝증기기관이 상용화 되었고
미국의 ˝독립선언문˝이 발표됨 으로써
오늘날의 자유, 민주, 시장의 ˝자본주의˝가
태동한 원년이라 할 수 있다.

경제학 원론서인 국부론,
자동화로 산업혁명을 선도한 증기기관
그리고 양도할 수 없는 보편적 권리인 생명,
자유, 행복 추구권을 선언함으로써 비로소
인간이 신의 종속물이나 노동을 위한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우 받을 수 있는 서광이
비추게 되었다

인간의 도덕의식은 다른 사람들의 지지와 
반감을 경험하면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이렇듯 사람들은 타인의 반응을 경험
하면서 자연스럽게 자기 자신을 심판하는 
"공정한 관찰자"를 상상하게 된다.

공정한 관찰자를 상상하면, ‘실제로 바르게 
행동했는가‘와는 별도로 이를 통해 강력한
자기 수행을 할 수 있다.

~ 사람들은 모두가 자신을 착하다고 생각
하고 ~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 하려 한다.
~ 피할 수 없는 자기중심적 성향의 사실을
인정하고 거기에 맞서야 한다.
~ 공정한 관찰자를 자주 떠올릴 수록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 - P53

내 평생에 걸친 인생이라는 업을 더 잘 
해내고 싶다면 공정한 관찰자를 자주 
떠올려야 한다. 
공정한 관찰자에 대해 생각하면, 자기 자신
에 대해 잘 알 수 있다. 더욱 더 훌륭한 상사, 
배우자,부모, 친구가 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공정한 관찰자에 대해 생각하면 현실
속의 관찰자와도 상호 작용 하면서 당신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바꾸어 놓을 수 있다. - P58

인간이 왜 공정한 관찰자가 정한 기준이나 주변 사람들의 기준에 부응하지 못하여 이기적이고 잔인한 이유는~~
~~ 바로 인간이 "자기기만"에 빠지기 쉽기 
때문이다. 
그에 의하면 우리는 "공정한 관찰자가 실은 그렇게 공정하지 않아."라며 스스로를 속인다. 
결국 자기애에 취한 나머지 공정한 관찰자
이자 가슴속 그 사람‘을 짓눌러 버린다는
것이다.

* 誠其意者 毋自欺也(성기의자 무자기야)
그 뜻을 성실하게 한다는 것은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것이다_大學 - P91

스미스가 제시하는 행복 처방전은 단순하다.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사랑스러운 존재가 
되면 된다. 이는 곧 존경받고 존경받을 만한 
사람이 되고, 칭찬받고 칭찬받을 만한 사람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다른 사람들에게 중요한 존재가 되고,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내 모습이 실제의 
나와 같으면 된다. 한 마디로, 정직한 방법 으로 사람들의 존경과 존중을 받으면 된다.

사랑을 받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부자가 되고 유명해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현명하고 도덕적인 사람이 
되는 것이다. 스미스는 그중 두 번째 방법, 
즉 지혜와 미덕의 길을 선택하라고 충고했다.

* 미덕이란 적절성이라는 최소한의 기준을
지키는 것(상식적으로 행동하는 것) - P167

美德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그중 그가 가장 강조한 세 가지가 있으니, 
바로 신중, 정의, 선행이다

愼重(修養) : 자기 자신을 돌본다
- 적게 말하고 많이 행동하는 진실함
* 자존감이 있어야 선행을 실천
正義 :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 소극적 선행 (행동하지 않는 선행)
善行 : 다른 사람을 선한 마음으로 대한다
- 적극적인 정의 (행동하는 정의) - P1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편안히 죽으려면 의사를 멀리하라


환자는 음식을 안먹어서 죽는게 아니라
죽음을 목전에 두고 소화 흡수를 못해서
안먹는 것이다. ~~

임종전 한동안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는
것을 "아사"라 오해한다 ~~

자연사의 실질적인 상태는 아사‘와 ‘탈수다. 
일반적으로 ‘아사‘와 탈수라고 하면 비참한 
상태를 연상할 것이다. 배가 고픈데 먹을 
음식이 없거나 갈증이 나는데 마실물이 없어 
마치 사막에서 길을 잃거나 망망대해서 표류
하는 것처럼 고통스러운 상황을 먼저 
떠올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임종을 앞둔 상황에서 ‘아사‘와 ‘탈수‘
는 다르다. 생명의 불꽃이 꺼지기 직전과 
같은 상황에서는 허기나 갈증을 조금도 
느끼지 못한다. 오히려 ‘기아‘ 상태일 때 
뇌에서 모르핀이 분비돼 기분이 좋아지고 
행복감까지 느끼게 한다. 
‘탈수‘가 오면 혈액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의식 지수가 떨어져 몽롱한 상태가 된다.
강제 인공영양법은 최선을 다해 반드시 
환자를 살리려는 의료인의 사명감과 환자를 
굶겨 죽게 내버려둘 수 없다는 가족의 죄책감
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이런 관념 이면에 
‘사망‘을 직시할 수 없다는 사실을 숨기고 있다. - P1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으로 보는 것에 탐내지 말라.
저속한 이야기에서 귀를 멀리 하라.
맛에 탐착하지 말라.
세상에 있는 어떤 것이라도 
내 것이라고 고집하지 말라.
고통을 겪을 때라도 수행자는 결코 비탄에 빠져서는 안 된다.
생존을 탐내서는 안 된다.
무서운 것을 만났을 때에도 떨어서는 안된다
병이나 굶주림, 추위나 더위를 견디어야한다
저 집 없는 사람은 그런 것들의 침입을 
받더라도용기를 가지고 굳세게 살아야 한다

[숫타니파타] - P66

마음은 이미 평화에 이르고
언행 또한 잘 다스려서
바른 해탈을 따르면
마침내 고요하여 열반에 이르네

心旣休息  言行亦止
從正解脫  寂然歸滅

『법구경』 - P102

聞信受持 讀誦說行

귀로 들으면 聞이라고 하고, 
의심하지 않으면 信이라고하며, 
받아들여서 버리지 않으면 受라고 하며, 
수하여 잃어버리지 않으면 持라고 한다.
경전을 읽고 사유하면 讀이라고 하고, 
경전을 덮고서도 사유할 수 있으면 
誦(송)이라고 하며, 
언어로써 법을 펼 수 있으면 說이라고 
하고, 직접 몸과 마음으로 실천하면 
行이라고 한다.

「유마경통윤소 - P1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옳고 그름 - 분열과 갈등의 시대, 왜 다시 도덕인가
조슈아 그린 지음, 최호영 옮김 / 시공사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마음˝을 인용하고
있으며, 본질적 맥락은 유사해 보인다

직관이 먼저고 전략적 추론은 다음이다
직관은 자신의 잠재된 신념(편향일 수도)에
따라 즉시 언행으로 발현되는 무의식적 자동 모드로 효율적이나 독선적이고 배타적이다
반면, 전략적 추론은 전후 상황을 따져보고 판단하는 의식적 수동모드로 이성적이다.
그러나 전략적 추론의 이성은 직관적으로 주장한 바를 합리화 하는 역할에 한정되어
이 또한 무늬는 이성적이나 무의식적 범주에
갇혀있어 이견에 대해 타협이 어려운 거다

답을 정해놓고, 상대가 이야기하는 시간에
자기가 할 말만을 생각하고 있으니....
대표적 부족주의 사례가 아닐 수 없다

나와 우리가 아닌 우리와 그들의 관계인 상황에서 초당적인 협력이 가능치 않은거다
공익은 사익에 우선한다 그러나 이는 세계가
아닌 우리 작은 집단에 한정되는 가르침이
국가, 인종, 이데올로기, 종교간 분쟁이
끝나지 않는다.
더구나, 분쟁국의 난민이나 기타 타국의 어려운 사람을 돕는 행동조차도 우리나라 빈민을 버려 두고 왜 외국인을 돕냐고 비난하는 자들도
있는 것은 인류라는 큰집단이 아닌 작은 집단 내에서의 공익만을 강조해온 근시안적 문제라 본다.

나와 우리는 옳고 그들은 그르다는
내로남불, 我是他非의 생각이야 말로
대표적인 ˝그름˝이다
대부분은 자기가 이성적이고 옳바른 판단을
한다는 착각을 한다
신념이란 편견의 다른 말이며, 見解란
편견이란 필터를 통해 해석된 犬解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만 和而不同 할 수 있다

사람은 偏見, 先入見 百聞不如一見이라는
3마리의 개(犬)를 키우고 있다고 한다
마음속에서 기생하는 펀견과 선입견을 몰아
내고 사람들의 말을 잘듣는 一見(觀世音)을
키워보는게 어떨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