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 - 위화, 열 개의 단어로 중국을 말하다
위화 지음, 김태성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9월
평점 :
위화의 <허삼관 매혈기>를 읽고 그의 다른 책들을 둘러보다가 보석같은 책을 찾아냈다.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는 위화가 초등학교 시절에 시작되었던 문화대혁명 시대부터 그 이후 정치적 격변기와 오늘날의 경제적 혼란 시대까지를 자신의 삶을 바탕으로 재미와 감동의 서사로 펼쳐내었다.
자신의 조국을 객관적으로 냉철하게 바라보고 비평할 수 있는 문학가가 얼마나 있을까. 위화의 다른 소설 <형제>와 이 책은 모두 상당한 비판 정신을 담고 있지만, <형제>는 중국에서 출간되었고 이 책은 출간이 허가되지 않고 있다. 이 책은 허구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은 이 책에 더욱 관심이 가게 만들었고 읽는 내내 나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아니 그 이상 논픽션으로서 최상의 책이라 추천할만 하다. 중국을 어줍짢게 안다고 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읽으면 생각이 달라지고 전혀 다른 중국을 만날 수 있다.
이 책의 원제는 <열개의 단어로 바라본 중국>이다. 위화는 10개의 단어인, 인민, 영수, 독서, 글쓰기, 루쉰, 차이, 혁명, 풀뿌리, 산채, 홀유를 통해 중국의 일상을 얘기한다. 위화는 일상을 풀어냄으로써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억, 감정, 욕망 등을 얘기하고자 한다.
현재 중국을 가장 잘 보여주는 단어는 산채와 홀유이다. 산채는 모방, 짝퉁, 못된 장난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홀유는 허풍과 선동, 해학과 조롱, 사기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산채는 집단이 집단에 행하는 사기적인 형태로, 홀유는 개인의 영웅주의에서 행하는 개인적인 사기, 해학의 형태이다. 두 단어의 사용은 구분되지만 경계는 모호한 듯 하다.
위화가 노점에서 자신의 소설 <형제> 해적판이 팔리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노점상에게 "이건 해적판이네요"라고 물으니, 노점상은 진지하게 바로잡아 주더란다. "해적판 아니에요. 산채판이지요"라고. 표절과 모방품이 산채라는 이름하에 합리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홀유는 속임수나 헛소문에 합리적인 지위를 부여해 준다. 위화의 친구는 수면제를 먹지는 않고 머리맡에 두면서 이렇게 말했다. "나 자신을 홀유해서 잠들게 하려는 걸세"
문화 대혁명 시대와 오늘날의 중국은 형태는 판이하지만 일부 정신적 내용은 닮아 있다. 문화대혁명 시대의 혁명적인 본성은 오늘 날의 경제 발전을 이끌어 왔다. 문화 대혁명 시대의 억압에서 풀린 후 돈을 벌려는 광적인 열기가 혁명을 대신하여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천안문 사태 이후 정치는 더욱 폐쇄되었고 경제는 초고속 발전을 이루었다. 최근 30여 년 동안 지속해온 단편적 발전은 윤리 및 도덕성의 결핍을 낳았고 이것이 산채와 홀유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다.
산채와 홀유 이전 8개의 단어들은 중국의 문화 대혁명 시대 혁명의 대오에 서 있던 인민들의 애환을 담고 있다. 대약진 운동과 문화대혁명의 폭력, 홍위병이었던 젊은 사람들의 양 극단적인 삶, 공개 비판 대회, 직인 탈취 사건, 혁명적인 단어로 사용된 루쉰, 영수 마오쩌둥, 작가의 독서와 글쓰기 내력 등에서 감동 뿐만 아니라 피식 웃음을 자아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8개 단어들에서 중국을 이해하고 나면 산채와 홀유에 공감하게 되는 부분이 있다. 중국을 중국인의 시각에서 느끼고 싶다면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