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와和! 일본 - 응집하는 일본인의 의식구조 해부
성호철 지음 / 나남출판 / 2015년 7월
평점 :
작가가 이 책에서 말하는 일본인의 의식구조는 이렇다. 일본인은 "와"에서 배제되지 않기 위해 엔료해야 하고 메이와쿠하지 않는다. 그러나보니 혼네와 다테마에가 다르다. 이것은 누군가 자신을 지켜본다는 메센을 의식한 행동이다. 다시 말하면, 주변의 눈을 의식하면서(메센) 엔료하고 메이와쿠하지 않기 위해서 혼네와 다른 다테마에를 행동해야만 "와"에서 배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작가는 이러한 의식 구조를 사례를 들어가며 잘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최근 아베 정권의 평화헌법 개정 논란과 우경화, 일본군 위안부 논란, 한류 열풍에서 혐한 시위까지 왜 일어나고 변화하게 되었는지 그 의식의 흐름에 놓이게 된다.
안과 밖을 구분하고 안의 세계에 남기 위해 안의 행동과 사고에 맞추어 응집 유지되는 세계가 "와"의 세계이다. "와"의 사전적 의미는 두개 이상의 수와 식을 합한다는 의미로, 여러이 더해져 새로운 집단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1:다로 응집되는 세계이다. 크게는 1:천황까지 확장된다. "와"의 세계는 구성원 모두 같은 행동을 하는 조화로운 공간이다. "와"에서 균일성을 벗어난 구성원은 왕따의 대상의 되기 십상이다.
주체로서 사물을 보는 것은 시선이지만 다른 주체의 입장에서 사물을 보는 행위는 메센이라고 한다. 누군가 나를 지켜 보고 있다는 눈의 지배를 받는 일본인은 타인을 의식하는 행동 방식이 엔료와 메이와쿠이다. 엔료는 선뜻 행동하지 않거나 양보하는 것을, 메이와쿠는 정해진 룰을 지키지 않아 남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말한다. 메이와쿠인지 아닌지는 옳고 그름과는 상관 없다. 지하철 내에서 전화통화나 큰소리로 떠드는 것은 모두 남에게 피해를 주지만, 전화통화는 메이와쿠이지만, 떠드는 것은 메이와쿠가 아니라는 식이다.
남의 눈을 의식하여, 즉 메센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 다테마에이다. 다테마에는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듯이, 속마음 혼네와 반대의 행동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테마에는 와의 세계를 따르기 위해 드러내는 삶의 방식이다.
이러한 일본인의 의식구조는 전후부터 지금까지 일본인과 한국인의 관계를 잘 설명해준다. 우리의 반일과 일본의 혐한은 그 기본적인 의식에서부터 다르다.
패전후 일본은 밖의 세계, 미국에 의해 "와"의 세계가 새로운 메센으로 변화하여 전쟁을 참회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받아들인다. 1970년대 <금각사>의 저자인 미시마 유키오가 군국주의의 부활을 외치며 할복하면서 메이지유신적 애국론이 고개를 들기 시작한다. 이때까지 일본은 한국인이 패전국민이 아닌 승전국민으로 행동한데에 대해 배신감을 느끼고 한국을 밖의 제3세계로 놓고 의도적으로 무시했다가 점차 무관심하게 되었다.
1980년대 경제가 최고조에 이르면서, 자신감이 붙은 일본은 미국에 대등한 외교력을 발휘한다. 이 때한국에게 일본은 증오와 흠모의 대상이었지만, 일본에게 한국은 철저하게 관심 밖이었다. 2002년 한일월드컵이 열릴 때 즈음에도 한국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중고생이 많았다고 한다.
1990~2000년대 잃어버린 20년을 거치며 일본인은 더욱 응집하여 애국론이 견고해진다. 한류 열풍이 강하게 불었지만 일본인은 한국의 반일 감정을 알게 되고 경제적인 기반이 무너지면서 분노를 표출하는 수단으로 혐안의 조류가 불었다. 거기에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위기 의식이 높아지고 일본인은 더욱 응집하면서 혐한의 분위기는 더욱 거세졌다.
세계 TV 시장 1위, 2위인 삼성전자와 LG 전자는 일본 점유율이 0~2%에 머물렀다. 삼성전자는 일본에서 철수하였고, LG전자는 시장 개척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일본 소비자의 심리를 꿰뚫지 못하고 있다. 네이버 라인이 일본에서 한국이라는 단어를 금기시한 마케팅으로 이용자가 3억명을 돌파하는 성과를 올렸다. 저자는 삼성과 LG는 이미 한국 기업이라는 인식이 강해서 거부감을 줄이기는 힘들므로, 마케팅 전략을 바꾸는 것이 좋다고 한다. 예를 들어, '일본 최고 기업의 부품을 탑재해 성능을 극대화', '일본인을 위해 특별하게 제작한 제품' 등 엔료하니 배제에서 풀어달라는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고 했다.
일본은 멀고도 가까운 나라라는 것이 절실하게 와닿게 하는 책이었다. 한국은 일본 식민지 지배 콤플렉스에서 벗어나 무조건적인 반일, 극일 감정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오히려 한국은 일본이 20년은 앞서가는 그래서 어찌보면 선진화, 경제화에 따른 폐해들을 답습하지 않도록 반면교사할 나라로서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일본이 점차 우경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그들의 의식이 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고 일본의 혐한 조류의 완화를 위해서라도 이 책의 출간은 반가운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