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물들 ㅣ 마카롱 에디션
조르주 페렉 지음, 김명숙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현대 물질 문명 시대에는 온갖 사물들이 넘쳐난다. 동네 상점에만 나가봐도, 없는 물건이 없다는 백화점에서도, 매장이 아니어도 쉽게 매스컴과 광고에 둘러싸여 사물들을 접하게 된다. 보면 갖고 싶는게 인지상정 아닐까. 알랭드 보통도 그의 저서 <불안>에서, 일반 시민들이 자리, 성취, 수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질수록 불안의 수준이 높아지고, 매스미디어의 발전이 기대를 높이는 데 기여를 했다고 말한다.
사물들에 대한 소유와 욕망이 완전 일치하며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소유하면 행복할 것 같지만, 소유는 또 다른 욕망을 낳는 것을 보면 소유와 욕망의 균형은 쉽게 이루어질 것 같지 않다.
이 책은 1960년대 프랑스 사회에 대한 사회학적 보고서라고 할 수도 있고 행복에 대한 담론이라고 말 할 수도 있다. 소설적 구성을 빌려서 젊은 부부 제롬과 실비의 꿈꾸고 좌절하는 삶을 압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제롬과 실비는 안락하게 미를 추구하며 살고 싶었다. 돈을 벌기 시작하면 그들의 취향대로 살 수 있을 줄 알았기에 대학을 중퇴하고 사회심리 조사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삶을 사랑하기 앞서 부를 원했고, 젊었기에 돈을 벌기 시작하면 될 줄 알았다. 잘 살고 싶어 시작했지만, 이 욕망은 자신들을 점점 소진시켰다.
제롬과 실비의 일상은 족쇄가 되고 지옥이 되어 갔다. 최대한 자유롭게 행복을 추구하고 본능에 충실하게 살고 싶었고 이를 위해선 돈이 필요했다. 돈을 벌기 위해선 성공해야 했고 그렇지만 성공을 위해 좋은 시절을 다 보내고 싶진 않았다. 돈이 부족한 생활은 그들을 지치게 만들었고, 돈이 조금만 더 있으면 행복이 흔들리지 않으리라 생각했다.
친구들과의 우정에 기대어 영화와 술에 빠져 살았지만, 곧 공허함을 느끼고 권태로움에 빠져들면서 우정도 서서히 무너져갔다. 제롬과 실비는 새로운 피난처로 전원 생활을 선택한다. 튀니스에서 일자리를 찾고 싶었으나, 튀니스에서 멀리 떨어진 생소한 스팍스라는 곳에 정착하게 된다. 이곳에서의 생활도 나을 거 하나 없었다. 스팍스에서의 생활은 시골뜨기로 전락하게 만들었고, 망명자가 되어 버리게 했다.
이들은 어떻게 될까? 마침내 튀니스로 발령받아 그곳에서 자동차와 빌라를 마련하여 안정을 찾을 수있을까? 아니면 다시 파리로 돌아와 궁핍한 생활을 이어가다가 조사원 일자리를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경력자 접대를 받겠지만 역시나 새롭지 않은 일상으로 돌아갈 것이다.
풍요로움 속에서 상대적 박탈감에 좌절감을 느끼는 현대 사회의 소시민들의 이야기와 다름 없다. 부를 가져오는 직업이 아니거나 물려받은 재산이 없고서, 대다수의 직업으로는 현대 문명의 풍부한 사물들에 대한 욕망을 채우기는 힘들 것이다. 그 욕망에 압도당할 뿐 무력한 존재인 것은 동일해 보인다.
"누구나 부를 꿈꾸고 부자가 될 수 있는 시대이다. 여기서 불행이 시작된다."
"역에서 역으로 이어지는 길에 들어선 골동품 가게, 서점, 레코드 가게, 레스토랑 메뉴판, 여행사, 와이셔츠 가게, 양복점, 치즈 가게, 제화점, 제과점, 고급스러운 정육점, 문구점으로의 순례가 그들의 세계를 말해 주는 것이었다. 그곳에는 그들의 욕망과 희망이 스며 있었다. 그곳에야말로 진정한 삶, 그들이 맛보고 싶고 영위하고 싶어 하는 삶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