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자폐 아들을 둔 뇌과학자입니다
로렌츠 바그너 지음, 김태옥 옮김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자폐증 관련 의학사를 보면 이런 내용이 나온다.
예전과 비교해서 오늘날 발병인구가 증가한 것은 다른 원인보다 교육을 통해
많이 드러나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우리 둘째 아이도 이런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아이가 만 3세가 지나, 눈도 잘 맞추고 소통도 문제가 없었는데, 어린이집 원장님이
검사받기를 권하셨다.
이 책은 자폐증 아들과 뇌과학자인 아버지의 이야기를 일간지에 연재한 기자가 다시
1년간 취재해서 나왔다.
세계적인 뇌과학자인 헨리 마크람은 자폐증 연구에서 2001년도에 놀랄 만한 논문을
발표했고 이는 기존 학회에 큰 반감을 일으켰다.
그리고 더 나아간 성과를 2009년 TED 에서 강연 했다.
10여년 지난 지금도 새로움, 그 자체이다.
자폐란 자기 안의 세계에 갇혀 주변과 소통이 불가한 상태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헨리는 동물실험에서 알아냈다. 이들은 둔감함이 아니라 오히려 지나친 뇌 활성화로
고통을 받고(강렬한 세계 이론) 두려움을 갖게되고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시선을 아래로 향하고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특정 패턴의 행동을 한다고 한다.
그는 주장한다. 뇌발달의 민감한 시기가 지날 때까지, 즉 6세까지 새로운 자극(TV, 컴퓨터,
화려한 색, 놀라운 일...)을 피하고 현재를 느리게, 뇌를 진정시키자고 한다.
민감한 어떤 자극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짧게 노출해서 익숙해지게 하라는
행동치료를 알려주기도 했다.
(여기서 수년전 들은 일화가 생각났다. 그 분은 미유학시절에 칫솔질을 하면 난리나는
아이를 진료한 경험이 있는데, 처음엔 치솔을 입 가까이. 다음엔 입안에 살짝 들어갔다 나오기,
담엔 혀에 살짝 대고 나오기, 담엔 어금니에 살짝...이런 식으로 몇 달 만에 해결했다는...)
그 시기가 지나가면 지능이 좋아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시기에 치료교육 엄청한다. 공공 교육현실에서 선행학습이 당연시 여겨지고,
이론서에는 진단 초기 5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취지에 맞춰 헨리 가문과 가족, 아들 카이의 이아기도 한 부분 차지한다.
이들의 이야기는 따뜻하고 아름답다.
자폐아에게 공감해주고 안아주고 곁에 있어 줄 것.
이들은 주변 사람들을 온순하고 사려깊게 만들어 주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상대의 상태를 파악하는 '마음이론'은 우리가 가지고 있어야 하지 않은가?
지구상에 생존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아이에게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갖춰주기 위해 항상 고민해왔다.
사랑스런 카이의 성장을 지켜보며(?)
아이에게
그래, 그냥 네 좋은대로 살아라, 우리는 응원해줄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