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손자로서 역사적 존재성이 확실한 ˝자사˝라는 대사상가에 의하여 일관 의도를 가지고 지은 역저라고 보는 것이 도올의 결론이자 사계의 공통된 의견으로 본다.

제1장 천명장부터 제33장 무성무취장 3,560자로 이루어져 논어 13,700여 자에 비하면 그 양이 방대하지는 않다.




그런데 중용"에 대한 가장 큰 일반인들의 오해는 그것이 우리의 삶의자세에 있어서 어떤 행동규범상의 "가운데를 지칭하는 것이라고 하는 근거없는 통념에 관한 것이다. 나는 좌파도 아니고 우파도 아닌 중용의 길을 걸어가겠다고 호언하는 자는 결국 회색분자도 안되는 소인배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중용"은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는 데문제의 핵심을 도피하거나, 적당한 타협을 유도하거나, 이것도 저것도아닌 우유부단한 머뭇거림의 비겁한 방편을 제시하는 그런 말장난에지나지 않는다. 공자나 자사는 그러한 "중용"을 말한 적이 없다. 대개그러한 "중용"의 개념은 서양철학에서 온 것이며,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윤리학 Ethica Nicomachea』을 가득 메우고 있는 언어에대한 피상적 이해로부터 온 것이다.
- P52

인격적 훌륭함이란 습관ethos의 축적된 결과로 생겨나는 것이다. 윤리적ethike 이라는말은 습관athos이라는 말의 형용사형이다. 즉 윤리와 습관은 같은 어원을 가지는 말들이다. 인격적인 또는 윤리적인 훌륭함은 습관을 통하여형성되는 것이다. 인격적인 또는 윤리적인 탁월함은 천성으로 생기는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P56

그러나 중용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다. 상황에 따라 그리고 사람에 따라 중용은 유동적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앞의 인용문에서 "탁월성은 이성적 선택과 결부된 품성의 상태"라고 말했던 것이다. 중용은 그 상황상황에서 선택proairesis을 요하는 것이다. 선택은 반드시 이성의 개입을 동반한다. 선택은 가볍게 하는 그런 성격의 것이 아니라, 목적과 심사숙고 bouleusis가 수반되어 있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