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學]에도 서른 살 이전에는 


박학불교(搏學不敎)하고 내이불출(內而不出)하라고 했다.


즉 20대의 학생들은 넓게 배우되 남을 가르칠려고 애쓰지 말고, 속에 집어 넣되 나의 내면에 함축시킬려고 노력할 것이지 그것을 밖으로 드러낼려고 노력하지 말라는 뜻이다. 나는 대단한 명언이라고 생각한다. 얄팍하게 남을 가르치고 얄팍하게 남을 비판만 한다면 큰 그릇이 될 수가 없다. 나의 내면세계 속에서 온축(蘊蓄)되는 것이 크면 클수록 나중에 敎하고 出할때 크게 되는 것이다. - 46쪽






나 자신을 반성하고 되돌아보게 만드는 구절이다.

물론 남을 가르치려고 들지는 않지만, 배운 것이 있고 깨달음이 있으면 그것을 말하고 싶어 입이 근질거린다.

들어주는 사람이 없어 그렇지, 들어주면서 맞장구라도 쳐줄 사람이 있으면 出의 유혹을 뿌리칠 수 없다. 

그것이 배우는 자의 초라한 모습임을 알면서도 얕은 허영심과 뽐냄의 욕망앞에서 늘 좌절한다.

그 이면에는 내 자신이 너보다 낫다는 교만에서 기인한다.

자신을 위한 공부를 하는 사람은 자신의 부족함을 알기에 지식을 과시하지 않는다. 진정한 학문이란 함부로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안으로 깊이 쌓아가는 것이기에..그리고 그 쌓여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겉으로 배어나오는 것이 진정한 학문과 수양이 모습이다.

배운 것을 입으로 옮기기에 급급한 사람은 깊이 있는 공부를 할 수 없다. 눈으로 보고 귀로 들은 가르침을 마음속에 깊이 간직하는 것이 진정한 공부다. 그리고 일과 삶에서 실천하는 것이 공부의 마지막 순서라고 생각한다.









나는 체질상 정치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고 또 전공이 전공이다 보니까 매일 서향을 짙게 풍기는 창호지 고서들만 읽고 살게 되고 따라서 현실에 매우 어두운 사람이다.(...) 나는 내 인생에 있어서 테레비를 본 적이 거의 없다.(...) 테레비도 안 보고 신문도 거의 읽지 않는 나의 생활에 무슨 정치성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다. 우리사회는 알려고 들면 하도 복잡해서 모르고 사는 편이 속 편하고 또 나의 양심과 행동을 지킬 수 있기에 편하다. 무식이란 때때로 참 고마운 것이다. - 42쪽

그 앎, 그 가르침, 맹자가 천하를 다스릴 대권을 준다해도 바꿀수 없다고 당시의 부귀권세의 인간들을 향해 호통쳤던 삼락(三樂)중의 한 낙으로 "득천하영재이교육지(得天下英才而敎育之)"를 집어 넣었던 이유를 그 누가 알랴! - 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