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살엔 몰랐던 내한민국
이숲 지음 / 예옥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무 살엔 몰랐던 내한민국

 

 

 

 

스무 살엔 몰랐던 내한민국

 

 

역사의 약자로 살았던 우리에게 가장 슬픈 상처는 이렇게, 패권 자가 던진 그물에 걸려 스스로의 머릿속에 자기 비하의 표상을 새긴 것이다. 오랜 세월이 흘러도 이 자국은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 3쪽 )

 

 

     인류학과 관련된 저서로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라는 책이 있다. 늘 함께 있는 가족들이기에 그들의 소중함을 모를 때가 있듯이,  우리가 한국이라는 민족으로 살아가면서 어쩌면 외국인들이 전혀 다른 시각으로 보는 우리의 모습이 진짜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익숙한 곳이 아닐 낯선 장소에서 나에게 익숙하지 않은 타민족을 보면서 오히려 그들을 통해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는 것이다.  이 번에 읽은 [스무 살에 몰랐던 내한민국]이 바로 그런 관점을 담아 쓴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 '이숲'은 한국이 아닌 유럽에서 공부하면서 우리의 모습에 대해서 새롭게 바라보게 되었고,  그것에 대해  많은 자료를 찾아 연구하며 졸업논문으로 이국땅에서 한국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한다. 그것은 우연히  외국의 대학 도서관에서 발견한 외국인에 의해 쓰인 100여 년 전의 한국을 담은 책을 만나고부터였다. 

 

     워낙 책에 대한 서평이 좋아서 기대를 하면서 책장을 넘겼다.  첫 장을 넘기고 서문을 읽는 순간 가슴이 찌릿하는 통증이 느껴지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우리의 모습은 무엇일까 내용이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한국은 게으르고 미개한 나라, 스스로는 절대 발전할 수 없는 나라, 지저분하고 아둔한 민족이라는 것이 우리에 대한  서구의 생각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작가는 정말 이것이 사실 그대로일까.라는 의문에서  100여 년 전 우리나라 사람이 아닌, 외국인에 의해  쓰인  Korea라는 나라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조사하면 할수록   우리나라에 대해 집필된  책들이 크게  두 가지 시각으로 씌었음을 알게 된다.  우리나라에 와보지 않고 다른 사람이 쓴 여러 책을 짜깁기 하듯이 새로 정리해서 쓴 책이나,  그저 잠시  스치듯 한국에 다녀가  어느 한 부분만을 보고 판단하여 쓴 책의 경우 대부분 한국인이나 한국에 대해 부정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반면에  오래도록 우리나라에서 살면서  우리의 민족성이나 일상을 함께 생활하며 깊이 관찰한 외국인의 경우 중국이나 일본보다도  우리 민족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문화 인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최소한 한 나라에서 일 년 이상 그들의 이웃으로, 친구로 그들과 같이 생활하며  어떤 한 부분만으로 그들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 문화, 사회, 관습... 등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봐야 한다고 배운다.  저자는 모두 6개의 장을 두고  100년 전 우리나라를 바라보던 서구의 시각을 자신의 생각이 아니라,  실제 우리나라에 대해 논했던 기자나, 선교사,  거주하던 외국인 교사나  한국을 다녀가거나 한국에서 오래도록 거주했던  사람들이 쓴 텍스트를 가지고  시종일관 객관적인 시각으로 논하려고 노력한다.

 

'한국인들은 충실한 벗이며, 신의 있는 종으로서, 기회만 주어진다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나는  발견했다. ...... 그들의 민족성에는 무서운 잠재력이 있다. ' ( 스코틀랜드계 영국인 신문기자 '프레드릭 매켄지' )

 

  위에 글을 쓴 '메켄지'라는 기자는 3차례에 걸쳐 한국을 방문하고 두 권의 한국에 관한 책을 자국으로 돌아가 출간했다.  그가 타국을 진술할 때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이 바로 '체험'이라고 한다.  우리는 보통 대다수의  사람이 믿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직접 겪어보지도 않은 상태에서  들어왔던  짧은 지식으로 선입견을 가지고  어떤 대상을 평가한다.  그런 방식은  만약 그 평가가 잘못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계속해서  이미 잘못 파악된  내용이  진실인양  인식되어 퍼지게 되는 것이다. 

 

  가끔 책을 읽으면,  이런 책은 정말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꼭 읽었으면 좋겠다 싶은 책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모두가 읽으면 좋겠지만, 특히 청소년기의 아이들이  우리의 민족에 대한 긍지를 갖고 성장해 가기 위해  필독을 바라는 마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