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 장수 엄기둥, 한양을 누비다 - 조선 후기 사계절 역사 일기 8
이영서.이욱 글, 김창희.김병하 그림 / 사계절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음 장수 엄기둥, 한양을 누비다

 

    주인공 기둥이의 아버지는 부자 집의 소작농으로 농사를 짓는 일을 하다가 억울함을 겪게 되어  전재산을 날리는 상황이 되었다. 원래는 기둥이네 땅이지만 흉년이 들었을 때 변 부자라는 사람에게 양식을 꾸게 되었다가 갚아야 할 시기에 빌린 양식을 갚지 못했다는 이유로.  변 부자가  땅을 빼앗아 가버린 것이다.  변 부자는 땅만 빼앗아 간 것만이 아니라, 나중에는  기둥이의 누나를  자기집의 노비로 데리고 가려고 하자,  더 이상 고향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거나 할 수도 없고,   누나를 노비로 주게 될 상황이  될 수는 없어 고향을 떠나기로 결정을 할  방법외에는 다른 방도가 없었다.   농사가 천직인줄 알고 살아왔던 아버지는 이후  온 가족과 함께  한양으로 올라오게 되고,  청계천 다리 밑의 거적 집에서  살게 된다.  가마니로 만든 거적 집에서 살기에 수시로 동네 아이들에게 거지라는 놀림을 받으면서  기둥이는 부자가 되리라 결심하게 된다.

 

   밑천 없이 할 수 있는 것은  지게를 지고 등짐을 져 나르고  노동에 대한  삯을 받는 일이다.  아버지는 기둥이가 맬 수 있는 작은 지게를 만들어 주셨고,   드디어 그렇게 기동이네 가족의  힘겹고 서럽기만 한  한양살이가 시작된다.  온 가족이 열심히 일하지만,  형편은 늘 어렵기만 하고,  등짐을 나르는 일도  한양 시전의  토박이들의 텃세에  힘들기만 하다.   그러다가 겨우  아버지가  나라에서 운영하는 얼음창고에서 일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일이  아버지에게 주어진 것도 워낙 힘들고 고생이 되는 일이라  일거리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시리즈로 꾸준히 출간되고 있어 이 전에  다른 내용의 이 시리즈를 한 권  읽어 본 적이 있었다.   [역사 일기]는  신석기 시대를 시작으로 한국사의 과정을  시기별로 단계에 맞춰   다루면서   여러가지  역사를 자연스럽게  알아갈 수 있도록 집필된  형식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예전에   냉장고도 없던 시기에 어떻게 얼음을  만들어서  그 얼음을  얼음창고에  보관했다가,  더운  여름까지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당시의 시장이나   음식,  세시 풍속 등  기둥이의  집이  이사를 하게 되는 과정부터 여러가지 상황이 전개될 때에 맞춰서  다양한  역사 지식을  담아내고 있다.

 

   누군가의 일기장을  읽는 것처럼 흥미로운  일도 드물 것이다.  기둥이가 자신의 고향을 버리고  한양으로 올라오게 된 사건을 시작으로  기둥이가 쓰는 일기의 내용을  따라가면서 자연스럽게   역사 공부를  하게 된다.  이 번에  기둥이네 가족이 서울로 올라와 얼음창고에서 일을 하면서  얼음장수가 된   이  이야기는   매우  흥미로운 소재였다.  잘 알 수 없었던 당시의 얼음을  장만할 수 있는  방법,  그것을 보관하는 방법과  나라에서 어떻게 얼음이 사용되는지에 대한 내용 등,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아서   재미있게 책을 읽어 나갈 수 있다.   부담없이  일기를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깊은  역사 지식을 쌓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