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 이 땅의 한국인, 그 손맛의 기록 대한민국 밥상의 가치를 재해석하는 푸드멘터리
KBS 한국인의 밥상 제작팀 / 시드페이퍼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한국인의 밥상

 

  [한국인의 밥상]이라는 프로그램을 우연히 채널을 돌리다가 처음 접하게 되었다.  우선 목소리부터 귀에 익는 분이네~ 싶은 '최불암'선생님이 진행을 하시는 모습에  어떤 프로그램인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그동안  흔하게 봐왔던 음식이나 요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서 요리를 다룬 방송과  배우이신 '최불암' 선생님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하지만 '한국인의 방송'은 그저 단순한 요리를 가르쳐주는 내용도,  여기저기 맛집을 탐방하는 내용도 아니었다.  전국의  농.어촌 등 여러 지역을 찾아가거나,  오랜 전통을 가진 명문 종가의  내림 음식이나,  지역의 특산품을 찾아 가서 그 음식이나 재료가 가지고 있는 음식이나 식재료를 다루는  정말 독특한 음식 다큐 프로그램이었다.

 

  그동안 한 번도 접하지 못했던 방식이라는 생각이었지만,  그만큼 더 호감이 가고 눈길이 가는 방송이어서  이후 일부러  방송 시간을  찾아 가며 보곤 한다.   살아가면서 매일 하루에도 세 번씩 마주하는 식사시간에 우리는 정말 제대로 된  음식을 먹고 있는가에 대해  돌아보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갈수록 정말 우리의 토속음식이나 전통 한식이 얼마나  건강한 음식인가 생각하게 되고,  되도록  우리 식단을 많이 준비해야겠다는 결심을  해본다.  가족 모두가 마찬가지 겠지만, 특히  매 끼의  식단을 책임지고 있는 주부에게  음식이란 너무도 중요하기만 하다.  그래서 늘 이런 저런 요리책을 구입하기도 하고,  요리 프로그램을 찾아 레시피를 따라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예전에 우리가 어린 시절에 즐겨 먹었던 식단이 가장  한국적이자,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좋은 식단이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좋은 방송을 만나면 한 번 보고 지나가 버린다는 것이 참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인의 밥상'을 보면서도  방송에서 다루고 있는,  좋은 재료가 나는 산지에 대해서도,  전통적인 우리 옛 음식에 대해서도  따로 더 자세히 접하거나  두고 두고  알 수 있으면 좋겠다 싶었다.  같은 마음이 통했는지,  이 번에  좋아하는 프로그램이  책으로 출간되어 더 반가운 마음으로   [한국인의 밥상] 책을 만났다.  그저 호기심이나 즐거움을 주는 프로그램이 있고, 두고 두고 정말 가치가 있어서  참 고마운 프로그램이 있다.   '한국인의 밥상'은 그저 단순한 오락 프로그램처럼 그 순간만이 즐거운 내용이 아니라,  우리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알 수 있는  깊이 있는 그런 방송이다.

 

  우리 것이 소중하다는 말을 자주 한다.  정말  삶의 한 일부분인 음식이야말로  가장  가까우면서 소중한 우리의 유산이다.  각 지역마다 그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거나 수확하는 식 재료를 이용해 그 지역만의 음식문화가 발달해왔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것은  여러가지 음식으로  변화했다.  그래서 우리의 긴 역사만큼이나  너무도 소중한 음식들을  많이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음식을 찾아  음식은 물론 음식과 관련된 여러가지 숨은 이야기를 만나는 시간은  참 뜻 깊은 일이다.  두고 두고 소장하고 싶은 책을  만나게 되었고, 수시로 꺼내가면서  계절에 따라  몸에 좋은 우리 음식을 찾아 떠나거나,   직접  좋은 식 재료를  구입해서  가족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좋은 식단을 만들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