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데이
김병인 지음 / 열림원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데이

  대식과 요이치의 인연은 정말 한편의 영화같은 이야기다.   영화계에 몸담았던 저자의 소설이기에  읽어가면서 더 영화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전쟁의 연속으로 이어지는 둘의 이야기는 아프면서 아름답다.  사실 한 발 뒤로 물러서면  인류는 무엇 때문에 항상 서로 대립해야만 하는가 안타까운 마음이 들게 한다.   한국인과 일본인 이라는 타고난 나라의 차이,  식민지와 침략자라는 입장 차이는  그들이 그저 타고난  그 자리일 뿐  그저 한 사람의 인간인 것을.   지금도 지구 곳곳에서  대립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과연 왜 그렇게 서로  원수가 되어야 했을까. 

 

  일제강점기  요이치는 일본인으로,  대식은 한국인이자 식민지의 백성으로  전쟁의 한복판으로 나서게 된다.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한 집에서  주인과 종과 같은 신분으로  살아야 했던 둘의  운명은 서로의 삶이 다하는 순간까지 늘  함께이게 된다.  일본인에게 아버지가 죽임을 당하고  일본인에 대해 좋은 감정을 가질 수 없었던  식민지  백성인  어머니와 대식 그리고 여동생은  일본인 대 지주인 요이치의 아버지의 보살핌을 받게 된다.  요이치의 아버지는  오갈 곳이 없던  그들을 거두어 어머니는  요이치집에서 식모 일을 하게 되고,  요이치와 같은  나이였던 던 대식은  같은 학교에서  달리기로 인해 더 라이벌 관계인 사이가 된다. 

 

    대식은  달리기로 올림픽에 참가하는 것만이  식민지 국민인 자신이  성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생각으로  가슴에 큰 꿈을 안고  열심히 노력한다.  요이치 역시 달리기로 늘 대식과  경쟁관계에 있으면서  둘 사이는 절대  가까워질 수 없는  관계가 된다.    하지만  2차대전은 점점  과열로 치닫고  일본은  내국인은 물론 식민지  학생들까지 전쟁터로  끌어가게 되고,  대식과 요이치는  각자의  이유로  전쟁터에 참가하게 된다.  너무도 다른 환경의  두 사람이 동시에 같은 전쟁터에  있게 되면서  서로의 관계는 전혀 다르게  흘러간다.  어쩔 수 없이 의지하고  함께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어느 순간부터 서로는 살아남아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서로  도울 수 밖에 없는 관계가 된다.

 

  예전부터 대식의  여동생을 마음에 두고 있던  요이치와  어머니와 여동생이  요이치 가정의 그늘에서  도움을 받고 있는  이중적인 상황에서  목숨을 부지하기 힘든 전쟁터에서   둘은  어느 순간  한 사람이  되어야 했다.  처음 책을 접할 때부터 '강제규' 감독의  [마이웨이] 영화의 원작소설이라는 것만으로 너무도 기대가 많이 되었던 작품이다.   그리고  이전에 있었다는  이 시나리오에 대한 찬사가 그저 말뿐이 아니라는 사실을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서 진한 감동과 함께  느끼게 된다. 

 

  크고 작은 이유로 우리는 늘 서로에게  칼날을 들이대고  전쟁이든, 대립이든,  적이 되곤 한다.  하지만  두  사람의  그저 비극적이라고만 할 수 없는 이야기를 만나보면  우리 인류가 가야할 길이 무엇인가  돌아보게 된다.  과연 우리가 적이라고 생각하던 상대방이 정말 적이 맞는 것인가.  그것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는 지금  바른 길로 가고 있는 것인가.   책을 다 읽고도 한 동안 두  사람의   운명이  머리에서 떠나지를 않았다. 그래서 더  어떻게 영화로 만들어졌을까 많은 기대가 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