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아, 외로울 때는 시를 읽으렴 2 : 사랑 편 -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하지만 늘 외롭다고 말하는 당신에게 주고 싶은 시 90편 딸아, 외로울 때는 시를 읽으렴 2
신현림 엮음 / 걷는나무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딸아, 외로울 때는 시를 읽으렴  2

 

  시인들의 사랑시를 천천히 읽어가면서  '정말 시인이 부럽다'는 생각을 해본다.  누구나 각자 나름의 절절한 사랑을 가슴에 안고 있고 때로는 가슴이 쓰리기도, 때로는 황홀하기도, 또 때로는 세상에서 나만 가장 불행한 사람인 것처럼 생각되기도 하는 이런 저런 가슴앓이를 한다. 그런 사랑의 감정들이 책장을 넘길 때마다 너무도 적절하게, 아름답게,  그림처럼 그려진 시들을 만나면서 다시 마음 깊이 새로운 사랑의 감정이  살아난다. 각자 나름의 크기만큼 사랑이라는 것은 그렇게 우리가 살아가는데 너무도 소중한 가치가 되어 우리에게 매일을 견디게 해주는 것만 같다.

 

  한 살씩 나이를 들어가면서 예전의 낭만이나 순수함을 잊고 살아간다.  학창시절 누구 못지 않게 이런 저런 시집을 읽고, 눈물을 찔끔거리기도 하고, 한없이 가슴이 부풀기도 했던 청춘 시절이 있었는데, 이제 인생이 무엇인가, 삶에 대해 더  많은 시간을 고민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조금만 서러워도, 좋아도, 아파도  일기장을 펼쳐 끄적이고,   세상 모든 시가 다 내 이야기인 듯  가슴이 저리기도 하던 그 순간이 다시 떠오르는 시간이었다.  책장을 넘기면서,  '그래 시가 이렇게 좋은데...' , '사랑하며 살아도 모자란 것을...'  이런 저런 생각에 빠져본다.  그리고  다시  천천히  이  사랑 시집을  읽어 나갔다.  때로는 예전에  수없이 읽고, 베껴 쓰던 시를 만나기도 하고,  또 한 번도  읽어보지 못한 새로운 시들을 만나기도 한다. 

 

  이별이 너무 아프다고, 사랑이 너무 벅차다고, 사랑하기에 더  힘들다고 시인들은 말한다.  그들의 시는 그대로 우리들의 이야기가 된다.  모든 것이 영원할 것같은 날들이 있었듯이, 지금은 또 모든 것이 시들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사랑의 힘은 가장 위대하고, 가장 소중함을  배운다.  상처가 때로는 너무도 깊고 아리기도 하지만, 그래도 다시  더  절절하고 아름다운 사랑을 생각하는 것은  누구나 사랑을  하면서,  또 더 깊고 높은 사랑을 꿈꾸며 살아가기 때문일 것이다.

 

  [딸아, 외로울 때면 시를 읽으렴] 이라는 제목처럼 나도 사춘기 딸아이가 있다. 그 아이도 언젠가 사랑을 하게 되고, 때로는 아프기도 할 것이다.  그때 나도 이 책을 아이에게 권하고 싶다. 힘들고, 어렵기도 한 것이 사랑이지만,  그래도 온 마음을 다해서 열렬하게 사랑하면서 살아가라고 내 딸에게도 말해주고 싶다.  진정  마음을 다 바쳐 사랑했다면 그것으로 족하지 않을까. 그가 그리울 때 수없이 그의 이름만을 반복해서 써 내려간 시를 읽으면서 정말 이런 시절이 있었지 공감이 간다.  시란 바로 그런 것인데...라는 생각을 해본다. 

 

 

 

사랑하는 사람 앞에서

사랑한다는 말은 안 합니다.

아니하는 것일 아니라

못하는 것이 사랑의 진실입니다.

잊어버려야 하겠다는 말은

잊어버릴 수 없다는 말입니다.

정말 잊고 싶을 때는 말이 없습니다.

헤어질 때 돌아보지 않는 것은

너무 헤어지기 싫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헤어지는 것이 아니라

같이 있다는 것입니다.

.

.

.

.

.

 

(본문 '한용운'님의 -인연설-  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