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카르테 2 신의 카르테 2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신주혜 옮김 / 작품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신의 카르테 2

 

  누구나 가장 약해지는 때가 바로 몸이 아픈  순간일 것이다. 아무리 강한 사람이라도 병마가 찾아오면 나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  너무도 당연한 인간의 모습이다. 누구도 죽음 앞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 되고, 특히 나를 고쳐줄 의사에게 기대게 된다. 바로 그런 순간이 온다면  내게도 이런 의사가 내 주치의였으면 좋겠다. '신의 카르테' 1권을 읽으면서 너무도 따뜻한 주인공 의사선생님과 인간적인 모습의 여러 사람들의 삶을 통해 소설이지만 정말 따뜻한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을 했었다. 전작의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어 2권의 출간소식이 무척 반가웠다.  

 

 우리는 모두 각자 자신의 입장에서만 생각을 하면서 산다. 24시간 365일 진료라는 병원에서  그 시간을 위해 병원을 지키고 환자를 돌보아야 하는 의사나 간호사들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못한다. 전편이 의사와 환자, 그리고 그 병원을 지키는 젊은 의사 '구리하라 이치토'의  생활주변의 인물들에 대한 내용이었다면, 이번에는 그와 그의 절친인 의사 '신도 다쓰야' 그리고 '혼조병원'의 고참 의사인 '늙은 여우 선생님'과 그의 친구 '너구리' 선생님에 대한 내용이다.

 

  도쿄대학 병원에서 근무하던 친구 나스야가 어느날 구리하라가 근무하는 혼조병원으로 오게 된다. 학부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잘나가던 그가 왜  이 곳으로 오게 되었는지 으아해한다. 나스야는  아이와 아내 사이에서 정말 어떻게 사는 것이 의사로서도, 아버지로도, 남편으로도 잘사는 삶인지 고민한다.  의사로의 삶에서 완벽해지기 위해,  누구에게도  완벽해지기위해 아내는 아이도, 남편도 잊고 오직 모든 시간을 환자들을 위해 보낸다. 그리고 그런  아내의 모습을 보면서 나스야는 예전에 자신의 모습을 보듯..지쳐간다.

 

"밤낮도 없이 일하는 '치나쓰'를 보고 모두들 뭐라고 했을 것 같아? '훌륭한 의사  선생님이시네요' 라고들 했어." ... 건조한 웃음소리 속에는 통절한 울림이 있었다. ... " ......미쳤다고 생각해. 나는 ...... ." ( 222 쪽 )

 

 자신은 당뇨를 앓고 있는 환자지만,  식사를 거부하며 점점 말라가는 다른 환자인 '시가'씨를 위해  식사 때마다  그녀를 돌보는 '아이다'씨. 자신의 혈당수치는 계속 올라가지만 그와 비례해서  여인이 점점 살아갈 희망을 갖고 웃음을 찾아가는 모습에 행복해한다. 그리고 두 사람은 이제 서로를 의지하며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  그리고  그녀가 건강해지자, 아이다씨의 혈당수치도 점점 정상으로 돌아간다. 

 

'휠체어에  파자마 차림의 하얀 여자를 태우고 땅딸막한  중년 남자가  그 휠체어를 밀고 있다.  앉아 있는 것이 시가 씨이고, 밀고 있는 것이 아이다 씨이다. 절대로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두 사람이지만, 웬지 절로 미소가 지어지는 광경이다.' ( 312 쪽 )

 

"오랫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조용한 그러면서도  강인한 목소리였다. 그 한마디  말에 들어 있는  한없는 비애와 고독과 적막함이 조금 늦게 내 몸과 마음을 덮쳤다.' ( 407 쪽 )




 


  누구나 한 번은 맞아야 하는 죽음이지만,   그래도 담담하게 맞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죽음의 순간이다. 더군다나  떠나야 하는 사람을 사랑하는 가족들이라면... 평생을 함께 할 시간을 갖지 못하고 모든 시간을 병원과 환자들을 위해서만 보낸 남편 늙은 여우선생님의 아내는 그나마 이렇게 병이 들어 함께 할 시간이 많아졌음을 감사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남편의 죽음 앞에 '오랫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라는 인사를 한다.  70년을 함께 한 노부부는 한 사람의 죽음을 지켜보고 같은 날 그이 뒤를 따르는 것으로 삶을 마무리한다.

 

  살고 죽는 일을 마음대로 할 수는 없지만, 신의 카르테.. 신은 그렇게 우리 모두에게 더 사랑하면서 살라는, 모두에게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은  생각의 시간을 갖게 한다.  내일을 위해  오늘 사랑하는 사람들과 후회할 삶을 살지 말라고 말한다.  시간이 지나 어쩔 수 없는 순간을 맞은 그들을 보면서  삶에 대해 더 진지해진다.

 


 '사람이 죽는다는 것은 뭔가가 정리된다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무엇인가가 시작된다는 것도 아니다. 소중한 인연을 하나 잃어버린다는 것이다. 그 텅 빈 공허함은 그 무엇으로도 채워지지 않는다.' ( 406 쪽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