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여자 - 오직 한 사람을 바라보며 평생을 보낸 그녀들의 내밀한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왕의 여자

 

    제목부터 흥미로운 역사서였다. 그동안 여러 사극을 통해 왕과 왕비 그리고 후궁과 여러 궁녀들이 드라마의 재미를 더하기도 했으며, 역사의 한 획을 긋게 되는 왕의 여자들의 이야기가 궁금하기도  했다.  역사드라마도, 한국사와 관련된 책도 좋아해서 기대를 많이 하며 책장을 펼쳤다.  500년 조선의 왕들과  왕후, 후궁들에 대해 조목 조목 여러 근거자료와 더불어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는 내용은 우선 김종성 이라는 저자에 대해 존경심이 생기기도 한다. 무수한 자료들을  조사하고  그 자료들을 알아보기 쉽게 표로 만들기도 하는 등 왕과 관계가 되는 조선의 모든 왕의 여자들에 대해 이렇게 다룬 책은 처음이기 때문이다.

 

    그저 가십이나 흥미위주로 생각하기 쉬운 왕과 왕의 여자에 대한 내용이라고 기대했다면 절대 실망하겠지만, 두고 두고 우리 역사의 한 부분으로 왕의 여자와 그들의  작은 일상이나  역사에 남을만한 왕후나  후궁들까지  공부하는 마음으로  읽고 소장하기에도 너무 깊이있는 내용이다.  1장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궁녀에 대한 내용으로 궁녀의 역사는 물론 궁녀가 어떻게 선발되고  어떤 품계가 있는가는 물론 일상적인 생활까지 상세하게 다룬다.  생각시부터 시작해서  마지막  죽음이 이르기까지  태어나고 죽는 순간 모두를 궁에서는 할 수  없었던  그들  궁녀의 일생에 대한 내용은 궁녀로 살아가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새삼 알게 되었다.

 

    왕은 항시 '보호관찰 대상' 이었으며 잠시도 왕에게 자유로울 시간이 잘 주어질 수 없는 일상으로 인해  궁에 있는 모든 여인이 왕이 마음대로  사귀기는 힘들었다는 내용은 새롭기만 하다.  왕이라면 그저 궁에 있는 모든 여인을 마음껏 만나고, 마음에 드는 여인을 마음껏 품을 수 있을 거라는  이전의 내 생각과 많은 차이가 있었다.  내가 그동안 읽었던 여러 역사소설이나 드라마 등은  흥미를 이끌기 위한 픽션이  많았음을 또 한 번  배운다.

 

    사실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2장의 '왕의 후궁'이다.  '통계로 보는 조선시대 후궁'이라는 제목으로 역대 후궁의 총 수를 시작으로 후궁을 가장 많이 둔 왕이나 후궁을 전혀 두지 않았던 왕도 있었다는 사실과,  후궁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왕손의 수는 물론 후궁들은  무조건 예뻐야만  왕의 눈에 들어  후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역시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이었다. 

 

'후궁들은  예뻤을 것이라는 우리의 기대를 '배신'이라도 하듯,  왕들은 외면보다는 내면이 충실한 여인을 후궁으로 선발하는 경향을 보였다. ( 181 쪽 )

 

    마지막 3장의 왕후에서는  조선의  실제 서른 여섯명의 왕후 중에서 폐위된 적이 있는 인물이 여덟 명이며 그것이 전에 왕후의 22%에 해당하는 절대  적지 않은 수였다는  사실과 함께,   누구라도 어느 집안이라도 왕후가 되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처녀단자 제출 마감일이 임박했는데도 지원자가 전국적으로 10여 명밖에 없었다. '  흥미로운 내용 중에 임금과 여인의 동침에  가까이에서  숙직상궁들이 있어 왕의 성관계를  듣는다는 것이다.  어린 왕의 경우는 물론 왕이 너무 심취해 있으면 '옥체를 생각하시어 이제 그만하십시오!'라는 말로 제지하며  쾌락에 빠져 건강을 해칠 수 있을 왕을 침실생활에서도 관리했다는 내용이다.  왕이라는 위치가 얼마나 어렵고 때로는 힘든 자리였는지  이 한 가지 사실만으로도 짐작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