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2 - 고대 왕국들이 서로 다투다 (300년~65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2
박미선 지음, 장선환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2 

고대 왕국들이 서로 다투다 (300~650년) 
 


 

     한국사 중에서 4세기부터 7세기 초까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2권 '고대 왕국들이 서로 다투다'는  지금도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 한강을 중심으로 그들이 어떻게 서로 전쟁을 벌여왔는가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삼국은 물론 주변국인 동아시아의 변화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어 당시의  외교활동 등까지 깊이있는 역사공부를 하게 된다.


 

    근초고왕이 나라를 다스리던  4세기 삼국 중에서 세력을 떨치던 백제를  시작으로  각 나라가 나라의 기틀을 형성하기 위한 생활상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아직 불교가 널리 퍼지지 않은 시기에  삼국 시대 사람들이  믿었던  하늘과 조상에게 지내던 제사의식 등을 포함해  샤머니즘, 애니미즘, 토테미즘의 의미까지 알아볼 수 있었다.  고구려의 광개토대왕과  장수왕의 번성했던  역사를 흐름을  배우면서 과거 우리 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기도 하고,  6세기 말,  진흥왕에 의한 신라의 번성기로 이어진다. 

 

    '고분으로 들려주는 삼국 시대 이야기' 에서 각 나라들의  다양한 고분과 그에 얽힌 이야기들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는데, 특히 충남 공주 송산리의  무열왕릉에  대해  여러가지 사진과 함께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삼국 시대의 고분 중에서 유일하게  무덤이 주인이 밝혀진 곳이자  무덤 형식이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었던 벽돌로 쌓아 만든 무덤이라는 것이다.  어떻게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무덤이 왕의 무덤으로 지어졌는지 그 과정을  따라가면서  당시의 중국이나 일본과의 왕성한 교류가 있었음을  알게 되고,  무열왕릉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물들을  사진을 통해  보면서  당시의  화려하고 정교했던 공예기술 등도 엿볼 수 있다. 

 



    1권에 이어 2권을 읽어가면서 우리의 한국사에 대해 공부하는 과정에서  박물관이나 유적지를 보듯이 다양한 사진자료들을 볼 수 있어  지루하지 않게  책을 읽어갈 수 있는 점이 매우 마음에 든다.  특히  불교의 전성기였던 이 시기의  삼국의 다양한 불상들의 사진자료를 보면서 당시의 불교에 대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은 물론 당시 사람들의 생각을 읽어갈 수 있었다.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을 한 권씩 더 읽어가면서 느끼는 것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다루고 있지만 비교적 다양하게 당시의 세계적인 흐름을  주변국을 중심으로  다뤄주고 있다는 점이다.  따분하게 역사의 흐름만을 짚어 나가는 일반적인 역사책과 달리  아이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흐름을  따라가면서  호기심을 느낄만한 내용은 더 재미있고,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설명하고 있어  처음 우리 역사를 접하는 아이들이  다가가기에  부담이 없는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