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1 - 우리 역사의 새벽이 열리다 (45억 년 전~30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1
오강원 지음, 김종민.서영아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 1. 우리 역사의 새벽이 열리다 . 46억년~300년)

 

      일본이나 중국 등 주변국 들은 갈수록  자기 나라에 유리하도록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그러기에 역사를 공부하는 것은  당연히 지켜야 할 자국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물론,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공부인 것이다. 그나마 조금씩  인식이 바꾸어 가고,  한국사에 대한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역사란 그저  오랜 시간이 지난 과거의 일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어떤 과정을 거쳐  한국이라는 나라의 국민으로  세계인들과  함께  인류의 한  부분으로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해  반드시 배워야 할 중요한 공부인 것이다. 

 



     한자 급수시험이 생기면서, 학부모들 사이에서 아이들에게  한자 공부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듯이  아이들 교육에 대한 얘기를  부모들의 모임을 통해 대화하다 보면  최근에 특히  한국사에 대해 부모들의 관심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물론  한국사와 관련된 시험이 생긴 이유와  학교 교육에 비중이 높아진 이유도 있겠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이유로  우리의 역사를 공부한다면  하는 바람이다.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의 완간과 함께 시리즈를  소장하게 되어  아이와 함께   우리 한국사를 전채적으로 공부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  그 중 1권인  '우리 역사의 새벽을 열리다'는  한국사의 역사에 앞서 '지구와 인류의 탄생'에 대한 내용부터 다루고 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작은 의미의 한반도를 넘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으며,  다시 그 땅에 인류가 처음 탄생함을  시작으로 삼은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본다.  한국사를 알기 전에  근본적인 지구와 인류에 대해 큰 줄기를 파악하면서   자연스럽게  '한반도에 등장한 첫 사람들'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을 꼼꼼하게 읽기 시작하면서 느끼는 몇 가지 특징은 1) 선생님이나 부모님이 아이들에게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는 구어체 형식으로  문장이 구성된 점이다.  2) 한 가지 이야기가 끝날 때마다 '클릭, 역사 유물 속으로'라는 코너를 두어 앞에서 들은 이야기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유적지나 유물을 사진과 함께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3)역시 각 장이 끝날 때마다 '아, 그렇구나!' 라는 코너를  두어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인 흐름을 잡아주어 조금 더 깊이 있게 역사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아이들의 의문을 가질 만한 내용에 문답식으로  호기심을 끌어내고 있다는 점이다.

 

      46억년 전에서 ~300년까지  도란 도란  잠자리에서 옛날 이야기를 듣듯이,  백과 사전의 수 많은 사진들을  보듯이, 그리고 역사적인 유적지를 둘러보는 느낌으로  다양하게 우리 한국사에 대해 초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눈 높이로  역사를 쉽게 소개하고 있어  아이도 부담없이 접근하는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시리즈를 읽고  다시  수시로 궁금한 부분을 검토하면  한국사의 흐름을 파악하고  흥미를 느끼기에  좋은 길잡이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