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의 기술 - 스스로 포기하지 않고, 즐기며 공부하기
가토 히데토시 지음, 한혜정 옮김 / 문예출판사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독학의 기술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를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독학의 기술]을 읽으면서 더 절실하게 실감하게 되었다. 학창시절 하기 싫은 공부를 억지로 하는 것과 근본적으로 결과부터 다를 수 밖에 없는  독학.  누가 시켜서 하는 공부도 아니고,  단계별로 범위가 정해지며 학년이 올라가는 공부도 아니기에  자신이 원하는 만큼,  궁금증을 느끼는 만큼,  끝없이 그 분야에 대해 파고들 수 있고  결국은  전공을 하고  그 분야에서 학업을 마쳤다고 졸업장을 받은 사람보다도 더 많은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 바로 독학이다.

 

      시험을 위한 공부,  결과를 평가하는 공부가 아니라  그저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대로,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한 가지에  파고드는 공부가 어떤 결과를 만드는지에 대해  이 책의 저자는  여러  독학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들려준다.  그저 평범한 사무원이었던 여직원이 세계적인  침팬지 연구자가 되어 지금은  그 분야에 가장  인정받는  사람이 된 '제인 구달'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독학이 주는 놀라운 결과들에 대해,  늘 배우고 익히는 일에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는  조언한다.

 

    독학의 의미와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는 중간 중간에  '당신의 독학을 도와줄 좋은 책' 이라는 제목으로  여러가지  책을 함께 소개하고 있어,  조금 더 깊이 있게  자신에게 맞는 공부와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부분이  마음에 들었다.  아이들이 한참 공부하는 나이가 되어  아침 일찍부터 늦은 밤까지  학교 일정에 딸라 움직이는 모습을 보면서 한때는 정말 홈스터디나 대안학교를  고민할 만큼  지금의  학교 공부가 과연 아이들에게  마음껏  하고자 하는 공부를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고 있는가 고민하곤 했다.  그저 고민만 했을 뿐  결정을 하기에는 용기가 부족했기에 지금도  늦은 밤까지  피곤에 지친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다.

 

    타고난 저마다의 소질도 다를 것이고,  각자가 느끼는 흥미나  관심도 다를 수 밖에 없는데, 우리는 너무 획일적인 공부를 시키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세계적으로 이름을  남긴 위인이나 현대의 인물 중에서  학교공부보다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깊이 빠져들어  연구하고 노력해서  인류에  많은 공헌을 한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을   본문에서 읽어가면서  독학이 정말  얼마나  중요한 공부인가 다시 한 번  느끼는 시간이었다. 

 

'중요한 것은 의욕 있는 사람을 키워내는 일이다.  무엇인가를 성취하고자 하는 내면의 용광로를 품은 사람을 만드는 것이다. 그런 인물은 오늘날의 제도 속에서 우등생은 되지 못하더라도  사람으로서는 진정한 우등생이다,' ( p. 51 )

 

      최근에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먹고 사는 일이 얼마나  그 사람에게 행복한 일이자,  개인은 물론 나라를 위해서도  중요한 일인지에 대해  읽은 적이 있는데,  이 번에 읽은 '독학의 기술'은 그 과정에 대한 이야기여서 더 공감을 하면서 읽게 되었다. 학력을 위해 초등학생부터  입시학원을 다니고,  한참 무엇인가에 호기심을 느껴야 할 시기에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서 고민할 시간조차 없는 지금 우리가  독학에 대해,  진짜 공부에 대해  고민할  때라고 생각한다.  행복하게 공부하고, 시키지 않아도 공부하는 자신만의 공부를 하는 아이들이 많아질 때, 이 나라가  세상이 더욱 행복해지고  발전하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