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의 서재 - 그리고 그들은 누군가의 책이 되었다
한정원 지음, 전영건 사진 / 행성B(행성비)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지식인의 서재

 



      어린 시절부터 책을 좋아하고 책이 많은 집이 가장 부러웠다. 다른 욕심은 없는 편인데 무슨 일이 있어도 서재만은 갖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해왔지만 아직 따로 서재를 가질만한 공간은 마련하지 못한 채 거실을 서재처럼 사용하고 있다.  서재가 근사한 집도 부럽지만 무엇보다 부러운 것은 책을 좋아하고 많은 책 속에서 늘 책과 함께 매일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그런 의미에서 누군가의 집을 방문해 서재나 책장을 보면 어느정도 그 사람이 좋아하는 분야가 무엇인지, 삶에 대해 어떤 생각으로 살아가고 있는지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책을 좋아해 늘 책과 함께 살려고 노력하지만, 사실 갈수록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점점 깊어지고 있다. 그만큼  다양한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고,  모든 책을 읽을 수는 없기에  되도록   누군가에게 정말  좋은 책을 추천받는 일은 매우 중요하고  값진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래서 자주  여러  유명인의 서재나 지식인의 서재가, 그들이 읽는 책이 궁금하기도 했다.  [지식인의 서재]는 책 제목부터  너무도 호감이 가고 관심이 갈 수 밖에 없는 책이었다.

 

      박원순, 이효재, 김용택, 최재천,  우리나라의 내로라 할만한 지식인이나  자신의 분야에서 이름을 알리고 있는 유명인의 서재를 이렇게 한 건의 책으로 만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너무도 행복한 시간이었다.  그리고 그들이 권하는 책 중에 또 다시  읽고 싶은 책을  만나게 되고 다시 내가 읽어야 할 독서목록은 더욱 풍성해진다.  책을 보면, 그 사람의 서재를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는 내 생각이 이 책의 주인공들의 서재를 한 곳씩 둘러보면서도,  그들이 권하는  책을 한 권씩  알아가면서도 틀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너무도 순수함이 가득하고, 특히 아이들의   글과 마음을 사랑하시는 '김용택' 선생님의 서재는 그대로 선생님을 닮아 있었다.  학창시절  엄마가 사주신 세계문학전집을 읽으면서  책에 흥미를 느낀 나로서는  월부 책장사와 친하게 지내게 된 선생님의  전집으로 시작된 책 사랑, 독서에 대한 재미에 대해 쓰신 글은 너무도 공감이 가고  추억이 새록새록 생각나는 시간이었다. 사진 속의 오래된 옛 전집을 보면서 나도 옛날 책을 그대로 간직할 수 있었더라면 정말 좋았겠다는 생각을 해보기도 하고,  따뜻한 마음과 함께  내 아이들을 위해 더 많은 좋은 책들을  만나게 해주어야 겠다는 부모의 책임감을 느끼기도 했다. 

 

 

     또한 방송에서 자주 접하고, 책으로도 접하면서 좋아하게 된 '이효재'님의 서재도 독특함과  추억이 고스란히 생각나는 시간이었다. 학창시절 여학생이라면 그녀가 가지고 있는 캔디캔디나  베르사이유의 장미 등  만화책에 대한 추억이 있을 것이다.  그의 서재는 만화방이라고 할만큼, 어린 시절 내가 좋아했던 다양한  만화책들이 가득했다.  예전에  책을 사지는 못했지만 동네  만화방에서 살다시피 하면서 읽었던 추억의 책들이 이제 그립기만 하다. 서재란 정말 너무도 그 사람을 닮아 있음을 다시 한 번 느끼는 시간이었다.  책 속의 지식인들은 독서란 소통을 위해, 자신의 내면을 위해, 세상을 알아가기 위해, 그리고  현실과의 또 다른 세계를 탐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말한다.

 

'개인과 개인이, 신세대와 기성세대가, 생각이 다른 집단이나 정당이 서로의 다른 점을 받아들이는  것, 그것이 바로  그가 원하는 소통의 시작이다. 그리고 독서는 그 소통의 시작이다.' ( p. 22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