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한번이라도 뜨거웠을까?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9
베벌리 나이두 지음, 고은옥 옮김 / 내인생의책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한 번이라도 뜨거웠을까?  

 

   책의 내용보다 제목이 먼저 마음에 와 닿았던 책이다. <나는 한 번이라도 뜨거웠을까?> 라는 스스로에 대한 질문에 나는 자신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지금 누가 '너는 지금 뜨거운가?'라고 묻는 다면 더욱 자신할 수가 없다. 아이들이 유치원 시기정도가 되면 가장 규범을 잘 지키며 간혹 실수를 하는 부모에게 지적을 하곤 한다. 그리고  한 살씩 나이가 들어가고...이제 어른이 되어 버리면 모든 것에 타협을 할 줄 알게 된다.  잘못을 눈감아 주기도 하고,  아니라고 말하고 싶지만 그저  바라보기만 하기도 하고, 그러면서 우리는 한 겹씩 세상에 때가 묻어가는가보다. 누구는 '세상물정을 알아간다'고 하고, 누구는  '참 순진하기도 하지' 라며 부정을 눈감으려 하지 않는 그들에게  오히려  손가락질을 한다. 

 

    <나는 한 번이라도 뜨거웠을까?> 돌아보니..후회만 남는다. 떳떳하지 못하고 이런 저런 마음에 불편하다.  평등하지 않은 두 아이가 각자의 환경과  상황에서  겪게 되는 이 이야기는 그래서 더 미안하고 안타까운 이야기이다.  1950년대 케냐에서 실제 벌어진 이야기인 '마우마우'의 존재와 그들과 얽힌 이야기를 성장기 아이들의  눈과 마음을 통해  들여다 보면서  우리가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다시 한 번 고민해보게 된다.

 

    자신들의 땅이었지만 이제 그 땅을  힘으로 빼앗아 버린  사람들에게 주인님 이라고 부르며  그들의  일꾼이 되어  살아가는 사람들과  그들의 아이인 '무고'의 이야기.  '무고'의  아버지와 엄마는  농장주의  여러가지 일을 도와주며 살아가는 일꾼이자,  아들인 무고는  그들의 주방에서 주방 일을 하는  어린 일꾼이다.   그리고 또래인 '매슈'는  농장주의 아들이자 백인으로  도시에서 학교를 다니며 주말이나 방학이면  집으로 돌아오곤 하면서  '무고'와 함께 우정을 나누는 둘도 없는 친구다.  무엇이든 함께 나누며 무고와 매슈는 서로를 신뢰하는 사이이기도 하다.

 

    하지만  더 이상  백인들에게  억눌린 삶을 살 수 없다고 생각한 흑인들은  힘을 모아 자신의 땅을 찾기 위해 뭉치게 되고,  '마우마우'라는 조직을 만들어  대결하게 된다. 그 상황에서  서로  적이 되어  흑인과 백인으로 나뉘면서 서로를 믿지 못하게 되고, 결국은 비극을 맞게 된다.  어른들이나 청년들 사이에서 벌어진 마우마우로 인해 두 소년인 무고와  매슈도  더 이상 친구일 수 가 없게 되고  이제 믿음이라는 것이 아무 의미가 없게 된다.

 

    전쟁이란 무엇인가?  음식물 쓰레기가 넘치고  비만에 대한 고민이 넘치는 현대에 아직도 왜 세상을 절반은 굶주리는가?  무수히 많은 질문들 앞에  우리는 과연  떳떳할 수 있을까.  두 아이들의 이야기를 읽어가다보면 자신에게,  세상에,  많은 질문을 던지게 된다.   청소년 성장소설이기에 더욱 우리 아이들이 이 책을 읽고 지금보다 더 뜨거운 가슴으로, 진짜 살만한 세상을 만들어 가기를  기대해본다. 

 

'다른 일꾼보다도 아빠가 믿었던 충실한 카마우......언제나 나쁜 일이 생기지 않도록 신경 쓰고.....돌봐 줬던 무고......어제만 해도 엄청난 재앙으로부터 나를 구해 주려고 무척이나 애썼던  그 무고에게 죄가 있다니! 모든 것이 혼란스러웠다.' ( p. 188 '매슈이야기' 중에서 )

 

'어떻게 그 불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이미 머리에서 배까지, 그 불은 온몸에서 활활 타올랐다. 고통이 심장 안에서 똬리를 틀고 있었다. ... 요시야는 미워하지 말라고 말했다. 요시야는 아마 자기 자신에게 더 증오하지 말라고 말하는 중일 것이다.' ( p. 206 '무고 이야기' 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