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명문가 독서교육법 - 평범한 자녀를 최고의 인재로 키워낸
이상주 지음 / 다음생각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조선 명문가 독서교육법

 

 

    아이들을 키우면서  정말 독서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끼곤 한다.  그저  명문가라는 것이 그냥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었고,  그들의  학습에 대한  가르침과 독서에 대해 자식들에게  늘 강조하고 실천했던 내용을 읽으면서   부모가  자녀들을 위해 어떻게  환경을 만들어주고 모범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고 또한  실천을 다짐해보기도 하는 시간이었다. 

 

   '정약용'이 유배를 당하자 아들들이 실의에 빠져 독서를 등한시 하는 것을 질책하기 위한  편지 내용인  망한 집안의 아들로서 잘 처신하는 방법은 독서 한 가지밖에 없다는 글과  자신이 쓴 책이  아들들이 읽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는 내용은 짠한 마음과 함께 유배지에서도 여전히 자녀들을 독려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그대로 나타나  명문가가  그냥 만들어지지 않음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된다. 

 

   '이이'는  공부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스승에 대한 예를 다해야 함을  강조한다.  자신을 지도하는 스승을 극진히 모시고 자신의 생각으로 스승을 비난해서는 안되며, 공부를 열심히 하기 위해 버려야 할 여덟 가지  버려야 할 나쁜 습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어머니 신사임당은 자신의 7남매에게 친정아버지에게 익힌 열 가지 계훈을 수시로 들려주며  명문가의  어머니로 자식들에게 모범을  보이고,  여러  자녀들을 훌륭히 키우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게  부모에서 자식으로 명문가의  교훈은 생활이 되고, 습관이 되어 정신과  몸을  만들어 갔던 것이다. 

 

    아들을 죽인 피도 눈물도 없는 아비로 '영조' 를 말하지만,  그가 '정조'라는 현명하고 개혁적인 임금을 만들었다는 것을 손자를 향한  교육에서  깊이 느낄 수 있었다.  왕이 될  손자가 아침을 거르는 일은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일이라는 이유로 신하들을 문책했을 만큼, 학습 뿐 아니라  많은 책을 읽고 실천하는 일의 중요성을  당부하며  임금의 자질을 길어주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것이다.  그렇게 왕이 된 정조 역시 '일득록'이라는 어록에  독서 피서법에 대한 글을 남기기도 했는데,  더위를 이기는데 도서가 가장 좋은 방법이며  독서를 하면 몸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심이 서게 되어 외부의 기운이 감히 들어오지 못한다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이름만 들으면 너무도 유명한 조선의 많은 명문 집안의  독서교육법을  읽어가면서,  그들이  지금까지 명문가로 이름을 남기고  있는 것은  어렵고 힘든 환경에서도 책 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 모습을 자녀들에게 보여주고,  수시로  격려하고 바른 길을  제시하며 실천하는  가풍을 만들어 왔기에,  두고 두고 후대에  이름을 남기는  많은  위인을 배출해 냈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책을 오래 읽지만 금세 잊는 경우는 뜻을 자세히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귀로 듣기만 한 결과다. 조금이라도 의심이 있으면 선입견에  집착하지 말고 반드시 새로운 뜻을 알 때까지  읽고 또 읽어야 한다.' (  p. 164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