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 젊은 인문학자 27인의 종횡무진 문화읽기
정민.김동준 외 지음 / 태학사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역사에 대해 알면 알수록 흥미롭다는 생각을 하면서 더불어 한국학과 관련된 책이라는 이유와 여러 분야의 학자들의 그림과 함께 풀어가는 한국학 공부라는 사실에 꼭 읽고 싶었던 책이었다. 책을 보는 순간 범상치 않은 두께와 깊이 있는 내용, 그리고 책을 집필하신 분들까지 모든 부분이 마음에 든다. 최근에 집 근처에 도서관이 생기면서 다양한 인문학 강좌가 열리고 있어서 3개월 단위의 인문학 강의를 열심히 등록하며 도서관을 들락거리다보니, 그동안 별 관심도 흥미도 없이 그저 딱딱하고 지루하다고만 생각했던 인문학에 대해 생각이 많이 달라지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사회 전반적으로 인문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여러가지 인문학과 관련된 책자들도 많이 출간되고 있어 부족하지만 조금씩 인문학에 대해 눈을 떠가고 있다.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는 그동안 읽은 몇 권의 인문학 책과는 또 다른 책이자, 너무도 소중하게 간직하고 싶은 책이 되었다. 그림 한 장에 담긴 다양한 역사와 작가의 생각, 그리고 시대적인 환경 등을 담고 있다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되어 그림은 물론, 인물, 역사 등 다양한 공부가 되었다. 스물 일곱 편의 내용 어느 것 하나 소중하지 않은 내용이 없으며, 모두 우리 역사를 알아가고 한국학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들이었다.

그 중에서도 몇 가지 내용은 더 흥미롭게 읽었는데, '정조 임금이 하사한 귤 술잔' 이라는 내용도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종묘에 가을이면 햇과일 제수용으로 귤을 진상하는 과정에서 제주도 감사는 진땀을 흘려야 했다는 내용이나, 정조 임금님이 신하들에게 귤의 겉껍질로 만든 술잔을 하사한 내용등은 이 책이 아니고는 알기 힘든 내용이었다. 더군다나 귤을 그린 그림과 귤에 대한 시를 읽으면서 지금은 흔하기만 한 귤이 과거에 얼마나 귀한 과일이었는지 알게 되었다.
100여년 전의 구 한말로 접어들면서 한 집안의 사진 한 장으로 엮어가는 '구 한말 서울의 상업가 이야기'라는 제목의 '주인섭'이라는 집안을 파헤치는 이야기나 사진 속 병풍인 <십장생도병> 그림이 '오리건 대학의 박물관'에 소장된 내용등을 따라가는 여정도 너무 흥미롭다. 달랑 한 장의 옛날 사진은 수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고, 그 이야기는 한 집안의 역사 뿐 아니라 우리의 근대사를 함께 담고 있다.
마지막 이야기인 1882년 일본에서 찍었다는 '박영효'의 양복입은 모습의 파격적인 사진과 함께 하는 내용까지 어렵겠다는 선입견과 달리 그림, 사진, 시와 함께 소중한 우리의 유산들을 만나는 시간이자, 그 가치를 새롭게 알아가는 공부하는 시간이었다. 자라나는 청소년기 아이들에게도 자신있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