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끌어당기는 말, 영어의 주인이 되라 - 실용 영어 개척자 민병철 박사의 글로벌 커뮤니케이터 되는 법
민병철 지음 / 해냄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을 끌어당기는 말, 영어의 주인이 되라

 

   직장인이든, 학생이든, 일반인이든 대한민국은 영어공부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아이들이 한참 공부하는 학부모 입장인 나의 경우도  아이들 영어공부를 위해, 또한 나 자신을 위해 영어공부에 관심이 많다.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 늘 영어 앞에서는 주눅이 들곤하는 것이 현실이다.  학창시절부터 꾸준히 해온 영어공부지만  정말 외국인을 만나면  말한마디 제대로  나누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고, 아이들만큼은  제대로 영어를 구사했으면 하는 욕심과, 더해서 학교 교과목에 들어있는 영어라는 과목에서도 좋은 성적을  받기를 원하는 마음에,  영어에 투자하는  사교육비도  만만치 않다. 

 

   <세상을 끌어당기는 말, 영어의 주인이 되라> 의 저자인 '민병철' 교수는  중년인 우리에게는  더  자주 접했던  분으로  나도  저자의  교재로 공부하곤 하던 시절이 생각난다. 지금이야 워낙  다양한 방법의 영어학원이나 교재,  이름 난 강사들이 많아졌지만  나처럼 중년의 나이에 접어든 사람이라면  '민병철' 이라는 이름을  영어공부와는 떼어놓고 생각하기 힘들만큼  그 분야에서는 오랜 시간 우리나라의 영어를 이끌어 오신 분이다.  사실 제목이나 내용보다  저자가 '민병철'이라는 이름만으로 믿음이 가서 책에 관심이 생겼다.

 

    책을 다 읽은 지금  역시 한 길만을 걸어오신 분답게  어떻게 영어를 공부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잡아가는 계기가 되었고,  그동안 무조건 주눅들곤 했던 영어공부를 다시 시도하고 싶은  결심이 생기게 되었다.  '한국인은 영어를 배운 적이 없다'는  프롤로그의 제목을 시작으로 그동안 우리가 영어라는 것에 대해 잘못된 길을 가고 있다는 것을  조목조목 자세하게 짚어가며  앞으로의 영어공부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가 영어공부를 하는 궁극적이 목적이 무엇인가에 대해  어려운 문법에 매달려 영어가 어렵다는  수렁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실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다른 언어를 배우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그들과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며 어떤 방법으로든 그들과 소통되는  공부가 가장 좋은 언어공부라고 말한다.

 

    '언어 형성기가 지난 시기에 영어를 배웠는데도 아주 좋은 영어를 구사하는 까닭은 도구의 노예가 되지 않고, 자신의 콘텐츠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영어를 부리기 때문' 이라는 표현으로 '반기문' UN 사무 총장님의 영어실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은 우리가 그동안 해왔던 잘못된 영어공부의 방향을  어떻게 바로잡아야 할것인가 돌아보게 한다.  영어라는 것은 그저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하라고 조언한다.

 

'영어는 도구일 뿐이다.  하지만 우리의 인식은 그렇지 못하다.  우리 사회에서 영어는 우상이다.  영어를 떠받들고 영어에 짓눌려 지낸다.'( p. 22 )

 

   영어가  의사표현의 수단으로만 생각할 때 생활영어에 필요한 영어는 문장 100개 정도면 가능하다는 부분을 읽으면서  의사소통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단어를 넉넉히 잡아 1000개, 그것을 다시 문장으로 만들면 100문장을 넘기지 않고도 얼마든지 생활영어를 해결할 수 있다는 글에 자신감이 생긴다.   그것들을 서로 반복되고, 다르게 조합하면서 수없이 많은 패턴을 만들어 낼 수 있고  그것이 기본적인  생활영어의 바탕이 된다는 것이다.

 

   저자가 생각하는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영어공부의 노하우,  어려운 문법이나 단어보다 더 중요한 영어공부의 목적에 대한 인식,  비로소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할 때 영어에 대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유롭고 편안하게 영어에 다가갈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이 책은  영어공부를 시작하는 사람부터 영어공부에 힘들어하는 일반인이나 학생 등 누구라도 한 번 정도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은 책이었다.  목적이 분명할 때  제대로 성공할 수 있듯이,  수십 년을  우리나라에서 거주한 외국인이 아무리 한국어를 잘한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하는 말과는 다르게 들린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을 보며 우리말을 참 잘한다고 생각하듯이 영어라는 공부에 대해 너무 완벽하고자 할 때 영어에 대한 자신감도,  공부에 대한 의지도 점점 약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