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생의 마지막 저녁 식사 - 살아가는 동안 놓쳐서는 안 되는 것들
루프레히트 슈미트.되르테 쉬퍼 지음, 유영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내 생의 마지막 저녁 식사

맛있는 냄새를 맡으면
건강하고 평화로웠던
과거의 어느 날이 생각나요.
행복했던 그 날로 돌아간 것처럼.
죽음에 대해, 산다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진지해지는 시간을 갖게 하는 책이었다. 독일의 함부르크의 '로이히트포이어' 는 죽음을 앞둔 사람들의 호스피스다. '등대의 불빛'이라는 뜻의 이곳의 요리사인 '루프레히트 슈미트' 는 생의 마지막을 맞는 사람들에게 죽음을 앞둔 그들이 먹고 싶어하는 요리를 만든다. 그가 매일 만드는 음식은 모두 다르며 그 나름의 이유에 의해 정성껏 만들어진다. 그가 아침마다 병실을 돌면서 환자들에게 먹고 싶은 음식과 그 음식에 대한 추억등을 듣고 되도록 그 사람이 알고 있는 맛의 음식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해서 만들어지는 음식이기 때문이다. 그곳의 환자들은 그가 만들어주는 마지막을 음식을 먹고 생을 마감한다. 건강을 잃은 사람들에게 먹는다는 행위 하나도 쉬운 일이 아니다. 먹고 소화시키는 것 자체가 힘든 그들에게 생을 마감하면서 추억에 담긴 음식을 묻고 만들어 주는 요리사가 있는 호스피스가 있었다는 것은 축복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어딘가에 이렇게 따뜻한 곳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책을 읽는 동안 내 마음 역시 따뜻해지는 느낌이다.
음식이라는 것은 그저 단순히 먹는 행위가 아니라 그 속에 그것을 함께 먹었던 건강했던 시간들과, 행복했던 순간에 함께 했던 사람들, 그리고 그들과의 소중한 시간을 추억하는 일이었음을 임종을 앞두고 자신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으면서 행복해 하는 사람들을 통해 새롭게 알 수 있었다. 만약 우리 생의 마지막 순간이 찾아온다면 나는 과연 어떤 음식을 먹고 싶을까에 대해 생각해보니 역시 가족과 함께 늘 먹던 밥상이 가장 생각났다. 어린 시절 엄마가 해주던 따뜻한 음식들이 지금도 더 생각나고 먹고 싶듯이,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일상적인 음식을 먹는 시간이 얼마나 소중한지 잊지 말아야 할 이유다.
내일을 장담할 수 없는 환자들의 호스피스지만 요리사는 직접 케이크를 굽고 잼을 만든다. 자신이 어린 시절 집에서 늘 계절마다 달콤하게 잼을 만들던 추억을 떠올리며 그때의 따뜻한 기억을, 달콤한 냄새를 환자들이 맡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예전에 식당에서 자신이 그저 음식을 만드는 로봇처럼 자신의 신경을 모두 끊고 그저 음식을 만드는 행위만을 했었다면, 호스피스 병동에서의 그는 더 이상 로봇처럼 일하지 않는다.
'호스피스에서 일하는 것은 그와 다르다. 그는 일하면서 손님들 생각을 많이 한다. 어떤 사람에게 어떤 기쁨을 선사할 수 있을까? ...상태가 악화된 사람은 누구이며 위독한 사람은 누구인가. 죽음을 앞둔 사람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 p. 76 )
임종을 앞둔 사람들의 소망은 모두 일상적이었던 순간들의 생활이 얼마나 소중했는지를 돌아보며 그 순간들을 그리워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인생이 언젠가는 마지막을 맞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하루 하루를 소중히 하지 못하고 만족하지 못할 때가 많다. <내 생의 마지막 저녁 식사> 는 그들이 먹고 싶어하는 음식이 어떤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삶의 마지막을 보내는 그들이 정말 소중하게 느끼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보게 한다. 호스피스에서의 마지막이 너무나 고통스러워 음식에 독을 넣어서 어서 자신을 죽게 해 달라는 환자에게 결국 그녀가 먹고 싶어하는 음식을 만들어주고 아직 살아있다는 것에 대해 행복함을 잠시라도 느끼게 해주는 모습은 너무도 아름다워 숭고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우리 몸 속에 어느 날 멈춰 설 시계가 째깍대고 있지 않다면, 인생은 지옥일 거예요. 즐거움과 행복이 없겠죠. 이 상태가 유한하다는 것을 알기에, 열정적으로 삶을 향유해요. ( p. 1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