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여자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종이 여자

 

   '기욤 뮈소' 소설의 특징은  영화같은 전개, 사랑을 담은 스토리,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긴장된 반전이다. 내가 '기욤뮈소'의 소설을 좋아하고  그동안 출간된 그의 작품에 푹 빠져 읽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른 작가의 작품과 달리 그의 작품에서만 느낄 수 있는 기욤뮈소 만의  분위기가 이 책에서도  역시 그대로 담겨 있다. 더 강하고, 더 진하게 그 만이 쓸 수 있을 것 같은  이야기였다. 

 

   그는 '감사의 말' 에서  '삶은 한 편의 소설이죠. 독자 여러분도 저처럼 빌리의 손에 이끌려 픽션과 현실 사이에 놓인 마술 거울을 통과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녀가 독자 여러분을 사랑과 신비의릐 경험으로  이끌어 드릴 겁니다.'  라는 글처럼  책을 쥔 순간부터  픽션과 현실 사이에서 혼란스러운 마음으로  흥미롭게 빠져들어 갔다.  주인공 '빌리'를 만들어 낸  저자의 상상력과  근사한 글재주, 그리고 그의  감성이  <종이 여자>의 존재를 탄생시켰다.  그가 이 책에서 '아주 낙관적이고 밝은 이야기'를 써보려고 애를 썼다는 말처럼 읽는 동안  빌리와  톰이  관계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과연  행복한 결말이 날 것인지에 대해  계속 궁금증을  생기게 했다.

 

   그동안 나름 많은 책을 읽으면서  책을 읽는 독자 입장에 놓인 내 위치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그저 좋은 책을  읽고, 그 책에서 감동을 받거나 도움이 되면 감사한 마음이었다. 저자는  책 속에서  '독자들이 절반은 만든 책이 가장 쓸모 있는 책이다.'라는 말과 함께  책에 생명을 불어 넣어 주는 존재는 바로 책을 읽는 독자들이라고 말한다.

 

'근본적으로 책이란 게 뭘까?  종이 위에  일정한 순서에 따라 글자를 배열해 놓은 것에 불과해.  ...   책은 읽는 사람이 있을 때 비로소 생명을 얻는 거야. 머릿속에 이미지들을 그리면서 주인공이 살아갈 상상의 세계를 만드는 것, 그렇게 책에 생명을 불어넣는  존재가 바로 독자들이야.' - 본문 315쪽-

 

   불우한 어린 시절을 이기고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톰.  역시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내면 톰의 도움으로 새 삶을 살고 있는 여자 경찰관인 '캐롤'.  그리고 톰의 매니저가 되어  함께 하고 있는  친구 '밀로' 는  힘든 상황을 이겨내면서  서로 힘이 되어 주고 우정을 나누는 친구들이다.  서로에게 힘든 일이 생길 때마다 내 일처럼 나서서 도움을 주고  마음을  다하는 세 친구들이 엮어가는 <종이 여자>는  시리즈로 출간하기로 약속한  <천사> 3부작 중에 마지막 권을 남기고 무기력증에 빠져 한 글자도 쓸 수 없이  고립된 생활을 하며 약물에 중독되어 가는 친구인 '톰'을 구하기 위한 '밀로'와 '캐롤'의  노력을 담아낸다.

 

   그리고 어느 날 갑자기  친구들 조차 보려 하지 않던 '톰'의 앞에 나타난 '빌리'는  톰에게  새로운 희망과 함께 다시 글을 쓸 수 있는 자신감을 심어준다.  영화를 보는 것처럼 어디까지가 현실인지, 꿈을 꾸는 것 같기도 한 빌리와 톰의 이야기는  읽는 동안 잠시도 한 눈을 팔 수 없이  그들의  세계로  빨려들어 가게 한다.  어린 시절에 자라 온 환경이 한 사람이 삶에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  그 시련을 이겨내고  다시 삶 속으로 다가가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