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들은 지금 파업 중 봄봄 아름다운 그림책 21
장 프랑수아 뒤몽 지음, 이주희 옮김 / 봄봄출판사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양들은 지금 파업 중

 

    서로의 입장이 되어보지 않고 상대방의 처지를 이해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누구나 자신의 입장만을 내세우고 타협하지 않는다면  이 세상은 어떻게 될 것인가. 아이들 동화책을 읽다 보면  몇 줄의 짧은 글과 그림 속에 숨은 깊은 뜻을 담아낸  경우를 자주 만난다. 

 

   농장에서 어느 날 양들이 파업을 시작한다.  매 년 겨울이면 털을 깎던 양들이  자신들만 털을 깎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부당하다고 느끼기 시작한 것이다. 처음 이런 생각을 하게 되어 양들을 규합한 것은 '어니스트'였다.  양들의 무리 중 한 마리인 어니스트는 양들만 털이 있는 것이 아님에도 항상 추운 겨울이면 양들만 털을 깎게 되고, 늘 털을 깎은 양들은 추위에 떨며 감기에 고생을 하며 겨울을 난다는 것이다.  감기 때문에 아픈 주사를 맞고,  쓴 약을 먹으며  겨울을 나는 양들은 모두 어니스트의  주장에 긍정하게 되고  더 이상 털 깎기를 거부한다.

 

   양들을 지켜야 하는 양치기 개 '라프'는 갑작스러운 양들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한다. 결국 양들을 어르는 과정에서 어린 양에게 상처를 입히고 양들에게 쫓기게 된다. 농장의 다른 동물들은 모두 모여 회의를 연다. 양털이 없이 겨울을 난다는 것은 힘든 일이지만, 양털 깍기 또한 오래 전부터 계속되어온 전통이라는 주장등 다양한 주장이 나온다.  양들은 시위를 시작하고 동물들과 양들간의 패싸움이 벌어진다.

 

   그리고 오랜 회의가 열린고 드디어 동물 농장에 평화가 찾아온다. 양들과 동물들은 서로의 입장에서 타협안을  제안했고, 양들도 더 이상 털 깍기를  못하겠다는 파업을 벌이지 않게 된다.  서로를 이해하고, 동물들이 양들을  이해하기 시작하면서   좋은 대안을 찾게 되었고,  동물 농장은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한참 자아가 형성되어가고 자기 주장이 강해지는 어린 아이들의 경우  자신의 주장만을 무조건 옳다고 내세우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갈수록 젊은 부모 중에 일부는 아이들의 주장이나 강한 행동에 대해  바로 잡아 주기보다  아이의  모든 것을  받아주는 일이 아이의 기를 죽이지 않는 일이라는 잘못된 생각에 더 버릇없이 성장하게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다 그렇지는 않지만, 우리 부모들이 먼저 읽고 아이들과 공감하며 많은 대화의 시간을 갖기에 적당한 그림동화책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간혹 아이들 책이지만, 어른들이 읽었으면 더 좋겠다 싶은 책이  있는데, 이 책도 누구든 한 번쯤 읽어보면  작은 시간을 투자해서  많은 깨닳음의 시간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