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모두 건강할 권리가 있다! - 약사 이모가 들려주는 몸.병.약에 관한 이야기
김선 지음, 김소희 그림, 우석균 감수 / 낮은산 / 2019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모두 건강할 권리가 있다
어린이를 위해 나온 책이지만 아이보다 내가 더 많은 공부를 하게 된 책이었다. 그동안 너무도 모르고 지나쳤던 내용이었고, 한편으로 조금은 궁금하기도 했던 내용이어서 정말 관심있게 읽었다. 그저 몸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도움을 줄거라고 생각했던 약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는 시간이었다. 최근에 텔레비전을 보다가 우연히 약의 남용으로 인해 또 다른 질병으로 고통받는 경우와 심할 경우사망에 이르기도 한다는내용을일부분 보게 되었는데, 전체 내용을 보지 못해서 제대로 내용을 이해할 수 없어 궁금하던 부분이 이 책을 통해 모두 이해할 수 있었고, 약을 처방받고 먹는 일이 얼마나 신중하게 생각해야 할 일인지 새삼 느끼게 되었다.
아이들에게는 사실 다소 딱딱하다고 생각될 수도 있는 내용이면서, 그렇지만 반드시 알고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내용이 이렇게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책이 아닐까 싶다. 다행히 이렇게 당장 도움이 될 만한 책을 쓰신 저자가 약국을 운영하시고, 보건정책 관리학을깊이공부하고 계시는 분이어서 더 신뢰가 간다. 또 지루하지 않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약사 이모가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어서 아이들에게 조금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 중간 중간 그림만으로도 어느 정도심각성을 인정할 수 있을 만큼 실감 나는일러스트가 함께 수록되어 있다.
예전에는 그저 병이라고 생각하지도 않던 생리통이나 가벼운 병도 꼭 병원을 가고 약을 먹어야 하는 것이, 사실은 상당부분 약을 제조하는 기업들의 이익창출을 위한 홍보 때문이라는사실은 안타까운 마음까지 들었다. 더군다나 엄마들끼리 모이면 자주 얘기하던 주의력결핍과 관련된 병으로 인식하게 된 ADHD치료약이 일부에서 머리가 좋아지고 공부를 잘할 수 있는 약으로 이용되고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아시아나 아프리카 같은 가난한 지역의 경우 절반 가까운 사람들이 필수 의약품을 구하지 못하고 있대. 이것은 무려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야.' 처음 책 속에서 이 부분을 읽으면서 약을 살 수 없을 만큼가난한 아프리카 사람들의 경제문제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뒷부분을더 읽어가면서 사실은 이런 필수 의약품은 약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돈을 버는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아무도 만들려고 하지 않아서 약을 구할 수 없는데 더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알고 경악했다.
저자는 약의 부작용과 약을 만드는 사람들의 의식, 잘못된 약에 대한 정보, 병을 대하는 자세와 아픔으로 차별받는 경우 등 건강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몸, 병, 약에 대한 많은 내용을 들려준다. 그동안 그저 모든 약이 몸에 좋을거라고만생각했던 부족함을 느끼는 시간이었다. 아이들 책이지만 누구라도 두고 두고 도움이 될 책이었고 나도 많은 부분 공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