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길고양이 - 제8회 푸른문학상 동화집 미래의 고전 21
김현욱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도서관 길고양이

 

   어른이 되어서도 아이들 동화를 읽으면 마음이 따뜻해지면서 착해지는 것만 같다.  이 번에 푸른문학상 수상작품  동화모음집인 <도서관 길고양이>를 읽으면서도  아이들의  작고, 예쁜 모습을 그려낸  신인 작가들의 작품들을 만나 행복한 마음이었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나름 독서교육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라  아이들이  글을 읽지 못할 때부터  동화책을 늘 함께 읽어왔다.  그리고 이제 아이들이 어느정도 고학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성인들 책 못지않게 아이들 동화읽기를 좋아한다.

 

     <겨드랑이 속 날개> 를 읽으면서  저자가 학교 선생님이라는 사실에 더 감동하는 마음이었다.  아직 더 좋은 선생님들이 많구나! 이렇게 아이들 마음을 헤아리는 선생님이 계시는구나! 싶은 마음에 학부모인 나는 감사한 마음까지 들었다.  모든 선생님들이 아이들을 위해  열심이시지만, 간혹 정말 아이들 감정을  무시하고  어른의 눈 높이에서 아이들을 대하는 선생님들을 보면서 가끔 실망할 때가 있다.  그럴 때마다 공 교육에 대해,  선생님들의 자질에 대해  의심을 하곤 하는것이 사실이다.  "그래, 참 좋은 시야. 시는 이렇게 당연한 걸 노래하는데 우리 마음에 때가 너무 많이 묻어서 시시하게 보이고 이상하게 보이는 거야." 라는  그 말을 가슴에 새겨본다.  모든 것을 더 순수한 모습으로  볼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도서관 길고양이> 는 책을 싫어하고 도서관을 따분하게 생각하던 아이가  노숙 아저씨를  만나고  그 아저씨를 위해 작은 친절을 보이며서 결국  책을 좋아하고, 도서관을  좋아하게 되는 내용이다.  어른들의  눈이 아니라 아이의 눈으로  바라보는  편견없는 시선이 너무 예쁘기만 하다.  아이들 마음마다 '다미'처럼  예쁜 마음이  책을 읽으면서  새록 새록  더 많아지길  기대해본다.

 

   <엘리베이터 괴물>을 읽으면서  초등학교 때 개에게 물려 개를 너무나 무서워해서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기도 하고,  밖에 나가는게 힘들었던 내 어린 시절이 잠시 스쳐졌다.  함께 다닌다는 이유로 '병신브라더스'라고 놀림을 받기도 하지만,  준호는 영민이에게 둘도 없는 친구였다.  함께  자전거를 타고 달리는 아이들의 모습이, 함께 깁스를 하고 방안을 뒹구는 모습이  우리 아이들의  모습인 것을.

 

   아이들 동화 읽기 독서토론을 참여하기도 하고,  아이들을 위해 동화구연을  조금이나마 공부하기도 하면서,  어쩌면 아이들보다 내가 더 동화와의  사랑에 빠진지도 모르겠다.  이제 아이들도  점점 커가고  얼마후면 동화를 읽을 나이가 지나겠지만, 그래도 여전히  동화를  함께 읽고 싶은 마음이고,  아이들보다 어른들이 읽었으면 더 좋겠다 생각되는 동화들이 참 많다.  이 번에  읽은 수상작품들도  모두 아이들에게 고운 심성을  갖게 하는 예쁜 작품들이어서  푹 빠져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