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에서 배우는 마음경영 CEO가 읽는 클래식 2
홍상훈 지음 / 새빛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한시에서 배우는 마음경영

-  해설이 있는 한시를 통한 인생공부 -

 

 

   예전에  서예를 잠시 배운 적이 있었는데, 그때 몇 가지 한시 쓰기를 하면서 한시 속에 담긴  깊은  의미에 대해  알게 되었다.  사실 한자를 그리  많이 알지도 못하고  한시라는 것의  큰 뜻을 다 헤아리지는 못하지만,  한시를  해설과 함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내용의 책 소개글을 읽으면서  한 번쯤  접해보고 싶었다.  한 살씩 나이 들어가면서  옛 것이 주는 편안함과 깊은 진리에  더 호감이 가기도 하고, 그래서 인지 최근에는 도서관 평생학습 등을 통해  논어를 공부해 보기도 했다.  옛 성인의 많은 뜻을 다 알 수는 없겠지만  마음이 편안하고  반성하는 시간이었다.

 

   <한시에서 배우는 마음경영> 은 우리가 평소에 접하기 힘든 한시 40여편의 분량을 소개하고 있는데,  모두 4장에 걸쳐 인생살이,  자기 성찰, 사랑, 삶에 대해 다루고  다루고 있다.  한 편의 한시를 한자와 함께 음을 달고 다시 그것에 해설과 의미를 담고 있는 형식이다.  한시에 대해  문외한이었던 나로서는  여러가지 의미를  새겨가는 과정이 많은 공부가 되는 시간이었다.  한 글자씩 뜻 풀이를 읽어가며   한시에 담긴 뜻을 헤아리다 보면  책 속에 빠지다보면 생각보다 많았다.

 

   소개된 한시 중에서  '못남을 기르다' 가 가장 마음에  든다.  ' 鐵柔不爲劍  (철유불위검) 쇠가 부드러우면 칼을 만들 수 없고 '  로  시작되는 이 한시는  마음에 욕심을 없애고 분수를 지키는 삶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자는 이 글을 통해  '남들의 가치관을 생각 없이 뒤쫓는 것은 언제나 뒷자리를 자처하는 결과를 가져올 뿐이다' 라고 말한다.  자신을 남과 비교하고 남을  따라가다보면  갈수록 비참한 존재로 전락하게 됨은 자명한 일이므로  자기 안에서 최선을 다하고 그 속에서 할 수 있는 한도의 노력을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한시에서 배우는 마음경영을 읽으면서 얼마 전에 배운  논어처럼 결국은  모든  원인을  자기 안에서 찾아야 하며 행복과 불행은 모두  마음 먹기 달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욕심이 과하면 화를 당하게  되고,  자신을 낮추고 겸손한 사람만이 모든 사람들에게 존경받을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한자를 더 알았더라면 더  깊이있게 한시가 다가왔을까 하는 마음에 잠시 한자를 공부하고 싶은 욕심이 생기기도 할만큼 한시가 주는 나름의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생각에  따라서는 지금 시대와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결국은 요즘 시중에 나오는 수없는 자기계발서가 말하는  의미들이  이 한 권의 책 속에, 몇 줄의 한시 속에 다 함축적으로 담겨있음을  알 수 있다.  짬이 나는대로, 마음 다스리기를 하고 싶을 때마다  한 번씩  읽고 싶은  한시들이  많았다.

 

 

'진정으로 순결한 영혼은 필요의 객관적인 크기를 측정하고

그것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며,

나아가 남는 것을 베풀 줄 아는 자기 안의

성찰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고 믿고 있다.

행복은 외부의 어떤 것도 아닌 자신의 마음에서 만들어진다.

- 본문 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