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팅 클럽
강영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라이팅 클럽

-  글쓰기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

 

   갈수록 참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책을 펴내고 있다. 때로는 그저  평범한 아줌마이기에 자신의 얘기를 책으로 펴내기도 하고,  이런 저런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자신의 일에 대해,  삶에 대해 책을  펴내곤 한다.   여행을 통해 여행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일기를 쓰듯이  자신의 일과를 담아내기도 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이제 더 이상  글을 쓴다는 것이  직업이 작가인 사람들만의  시대는 아니라는 생각이 자주 들었었다.  그리고 때로는  오히려 전문 작가들의 글보다 그들의  글속에서  구성이나 솜씨는 조금  어색하고 부족하지만,  그래서 더  공감을 느끼는 맛이 있고  더  가깝게 느껴질 때도 있다.

 

   그래도  여전히 내게 글쓰기는 어렵기만 하다.   학창시절 나름 일기도 열심히  끄적거리기도 하고,  지금처럼 컴퓨터가 발달하지 않았고,  휴대폰 조차 없던 시절이어서  또박 또박 손글씨 편지를  써서  친구들에게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매일 만나는 친구의 경우도 조금 섭섭하다 싶거나, 고마운 일이 있으면 밤새도록 편지를 써서  몰래 책상서랍에 넣어두곤 했었다.  하지만 그저 나의 감정을  순수하게 전하는 정도의 수준일 뿐,  글쓰기에 대한  옳은 방법에 대해서도, 문법의 오류에 대해서도, 맞춤법에 대해서도  고민을 하면서 글을 쓰지는 않았었다.

 

   한번쯤은  내 삶에 대해,  보모님의 삶에 대해 한 권의 소설이라는 생각을 안해본 것은 아니지만, 정말이지  글쓰기를 제대로 할 자신이 없기에 그저 능력 밖의 일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여건이 된다면,  다시 학창시절로 돌아간다면,  제대로  공부를 하고 싶은 분야가 바로  글쓰기를 이기는 하다.  

 

  <라이팅 클럽>에 대한  정보를 처음 접하면서  정말 읽고 싶은 책이었다.  글쓰기를 소재로 하는 두 모녀의 이야기라는  내용이  색다르게 느껴졌고,  마구 호기심이 생겼다.  책을 읽기전부터   책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글쓰기에 대한 공부도 되겠다 싶은 마음이 들기도 했다.  그저 잡지에 한 번  당선된 적이 있는  엄마 '김작가' 와  역시 글쓰기를  좋아하는 딸  '영인' 은  둘만이 유일한 가족이다.  엄마에게도 딸에게도 글쓰기를 빼고는 삶을 생각할 수 없으며,  매일의 일상 역시도 글쓰기와 항상 관련이 있다. 

 

   화자인 딸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글쓰기와 관련한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여러가지 책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글쓰기란 무엇이고,  글을 써낸다는 것이  어떤 것이며,  어떻게 글을 써야 하는가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하게 된다.  그리고  좋은 글을 쓰는 것보다  그녀들처럼 그저 쓴다는  자체에  더 큰 의미가 있다는 쪽으로 생각이  굳어진다.  글을 쓴다는 자체가  삶의  모든 것이 되어 버린  두 모녀의 이야기를 통해  글쓰기에 대한  더 깊은 의미를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나는 가슴 저 밑바닥에서부터 올라오는 떨림에 몸을 맡긴 채 거듭 다짐했다.

글을 쓰리라! 글을 쓰리라! 죽어도 쓰리라.

그 문장이 좋은 문장인지 나쁜 문장인지 알 수 없었지만

글이 저절로 떠오르는 순간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한 기쁨은 매우 컸다.

- 본문 56쪽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