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 문학동네 한국고전문학전집 3
혜경궁 홍씨 지음, 정병설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중록

-  다 알지 못했던  또 다른 역사를 만났다  -

 

    <한중록>은  학창시절에  스치듯 배운 정도가 전부여서  그저 사도세자의  부인이자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산문집 정도로 기억하고 있었다.  제대로 책을 읽은 적도 없어서  언젠가 한 번은 읽어보리라 결심을 하곤 했는데,  드디어  이 번에  문학동네에서  '한국고전문학전집'으로 나온  책을  읽게 되었다.  책을 다 읽은 지금 소감은 한마디로 너무  정성이 들어간 잘 만들어진 책이라는  생각이다.   예전부터 도서관에 들러 한중록을 빌려 읽어 볼 생각에  이것 저것  살펴본 적이 있었는데,  어린이 용으로 나온 한중록과  전문가가 아니면  보기 힘들만큼 원문으로 쓰여진 책을  접하고  읽기를 포기했었다. 

 

     책은 1부 '내 남편 사도세자' , 2부 '나의 일생' , 3부 '친정을 위한 변명' 으로 이루어진  3가지 내용을 담고 있는데,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제  1부  내 남편 사도세자> 였다.  사도세자의  아버지 영조에게 사랑받지 못했던 어린 시절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세계 역사에  유례가 없는 아버지가  아들을  뒤주에 가두어  서서히 죽어가게 했던  사건까지  사도세자의 일생 모두를 담고 있다.  글을 쓰면서  자신의 입장에서 남편에게 닥친 일들에 대해  사건이 생길 수 밖에 없었던 전, 후 모든  의문들을  되도록 사실 그대로 써내고 있다.  때로는 담담하면서 따뜻하기도 하고,  때로는  피눈물을 흘려야 했던 아픔의 나날들까지  혜경궁 홍씨는 깊은 내면의  마음으로  처절하게  기록해냈다. 

 

   비록 남편이기는 하지만  광증이 깊어 주변 사람들을  죽이곤 하는  상황에서,  하루도 편할 날이 없던  혜경궁은 때로는 남편의  극한 행동들을 보면서  두려움에 떨기도 했다.  그러니  솔직히  남편이  잠시  다른 곳으로  가는 것조차 다행스러웠다는 마음을  헤아리고 남을 듯하다.


'하늘 같은 남편이  아무리 중하다 해도, 나 역시 목숨이 언제 마칠지 모르니 너무도 망극하고 두려워서, 한마음으로 오로지 경모궁 뵙지 않기만을 원하였으니, 경모궁께서 온양 거둥하신 사이라도 뵙지 않음을 다행히 여기더라.' -  본문 97쪽 -


   결국  사도세자의 광증은 자신을 낳은 어머니  '선희궁'조차 남편인 영조에게  결단을 내려 처분을 해 달라 청한다. 

 "동궁의  병이 깊어 바랄 것이 없으니, 소인이 차마 이 말씀을  드리는 것이 정리에 못 할 일이나, 옥체를 보호하고 세손건져 종사를 편안히 하는 일이 옳사오니, 대처분을 하소서' 하시니라. 또

"설사 그리하신다 해도 부자의  정이 있고 병으로 그리된 것이니  병을 어찌  꾸짖으리이까. 처분은 하시나 은혜를 끼치시고 세손 모자를 평안하게 하소서." 하시니, 내 차마 그 아내로 이 일을 옳다고는 못 하나 어쩔 수 없는 일이라.  - 본문 126 쪽 -

   아!  읽는 동안  선희궁혜경궁, 사도세자(경모궁)의 입장에서 생각을 해보아도 정말이지 너무도 기막힐 노릇이었다.   사도세자는  "내 죽으려는가  보다.  그 어인  일인고."  하면서 마지막  죽음을 예견했고,  어머니는  아들을  처분해 달라 남편인 임금에게 청하고,  아내인 혜경궁  그 처분을  어쩌지 못하고,  아버지 영조는  아들을  뒤주에 넣어 죽음에 이르게  했다.  아내인 혜경궁의  기록 어느 부분도  가슴이 저리지 않은 부분이 없으니, 평생을 살면서 얼마나  많은  번뇌로 살아야 했을까 싶다. 

 

    벼르다가 읽게 된 한중록.  500여쪽에 달하는  다소 양이 많다 싶은  책이었지만,  정말 며칠동안 빠져들어서 책을  읽었다.  그동안 어려울거라 생각해서 지레 포기했던 한중록이었지만, 이 책은  지금 시대에 맞도록  글을  쉽게 풀어 써서  어렵다는 생각없이  편안하게 매끄럽게 책장을 넘길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모두 40편에 이르는 < 한중록 깊이읽기 > 부분이었다.   한중록이  대중들을 위해 쓰여진 책이 아니라  그저 혜경궁 홍씨가 노년에  기억을 더듬어  기록한 자신의 삶을 담은 책인 만큼  앞, 뒤  역사를  모르는 상태에서  읽다 보면  어떤 부분에서는 역사적인 지식이 부족해서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   조금 더  알고 싶다 싶은 마음이 들 때마다  바로  다음 쪽에 따로  '한중록 깊이 읽기' 에서 앞, 뒤 상황과 역사적인 배경지식등을  설명하고 있어서  더욱 쉽고 흥미롭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  꼭 가려운 곳을 때 맞춰서 긁어주는 기분이었다.

 

   책에서는  뒤주를 누가 생각해 냈는가? 누가 뒤주를 가져오게 했는가? 에 대해서도 이야기가 분분하다.  결국  세손이었던 아들인  '정조'가 임금이 되고,  다시 사도세자의 손자가 순조가 되니  혜경궁은  자신의  할아버지 일의 전, 후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없을 손자를 위해 글을  남길 생각을 했던 것이다. 

 

'내 백발 노년에 이를 능히 써내니, 목숨의 끈질김이 어이 이러하리오.  

하늘을 불러 눈물 흘리며 운명을 한탄할 뿐이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