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보면, 아이의 심리가 보인다 - 그림으로 읽는 내 아이 심리
실비 쉐르메-캐로이 지음, 김성봉 옮김 / 여백(여백미디어)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그림을 보면, 아이의 심리가 보인다

- 아이들은 그림으로 늘 자신의 마음을 말하고 있다 - 

 

'그림 분석에서 그림을 잘 그렸느냐, 못 그렸느냐의 미적 가치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그들이 보여주는 내면세계이다.

결국,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단순히 즐거움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성격을

온전히 드러내 보이는 심리적 투사 행위라고  할 수 있다. '

- 본문 프롤로그 중에서 -

 

   아이들을 키우면서  이전부터 그림으로 어린이 심리를 파악하는  것에 관심이 많았다.  아이들이 말을 하기전에 단순히 그리는 낙서같은 그림에도 다 의미가 있을거라는 말에 흥미롭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따로 공부를 한 적도 없어서 늘  호기심과 함께  한 번쯤  깊이 있게 공부하고 싶다고 생각하기도 했는데,  이 번에  <그림을 보면, 아이의 심리가 보인다>를 읽으면서 어느정도  도움이 되었다. 

 

   책은 말을 하지 못하는 시기의 아이들의  낙서와도 같은  그림부터  성장기를 겪고 있는 사춘기들의  다양한 그림들까지  수 없이 많은 그림들을 소개한다.  한 장 한 장 아이들의 그림 속에 담겨 있는 모습을 통해 그들의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있다.  그저  아주 어린 아이들이 서툴게 그린 동그라미  하나에도,  아이들은  늘 무언의  말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  단지  그  그림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우리 어른들의 무지함이 문제일 뿐.

 

   1장 '그림은 아이들의 마음을 읽는 창' 부터 9장  '아동의 그림에서 성인의 그림까지' 모두  9가지 구성으로 이루어진 내용 모두가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가지고 그 아이의 상황이나 심리등을  알 수 있지만,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의 한 사람으로 특히 3장의  '부모의 이미지를 통해 본 아이의 심리 상태'  부분은 더  관심이 많이 가는 부분이었다. 

 

   아이들이 태어나면서  가장 많은 시간 함께 하는 부모와의  관계가 아이의 그림에 모두 나타나 있는데,  부모에게 환심을 사고 싶어하는 아이의 그림, 그림 속에  남성성을 표현하는  상징적인 그림,  부모에 대한 반항심을 가슴에 담은 그림 등  아이들의 그림을 보면 그 가정에서  엄마, 아빠의 역할뿐 아니라  아이가 느끼는  엄마 아빠에 대한 욕구, 불만,  갈등 등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그림을 통해 아이들의 심리를 파악하는 일중에  특히 주의 해야 할 사항은 한 장의 그림으로 아이들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모두 파악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림을 분석할 때 단지 한 장의 그림만으로 아이들의 심리 상태를 이해하려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 는 말처럼  아이들의 여러 문제점들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반드시  일련의 그림이 필요하다고 한다.  시간을 두고  그 아이의 그림을  관찰하면서  여러 장의 그림을 통해 아이의 심리를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기 위해  아이의 그림에  그림을 그린 날짜와 그림의 설명등을  기록해 두는 일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동안 많이 궁금한 부분이기도 하면서 너무 이 분야에 문외한이었던 나로서는 상당히 도움이 되는 시간이었다.  그저 단순한 낙서로, 혹은  즐겁게  그림 그리기 놀이를 하는 정도로 생각했던  모든 아이의 그림들이  새롭게 다가온다.   책을  한 번 읽었다고 해서  아이들의 그림을  통해 심리를 이해한다는 것은 너무 터무니 없는 일이지만,  최소한 아이들의 그림 속에 그들의 마음이 온전히 담겨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다른 시각으로  아이들의  행동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 점만으로도  충분히 가치있는 시간이라 하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