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화의 진실 - 조선 경제를 뒤흔든 화폐의 타락사
박준수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악화의 진실

-  잘못된 국가의  정책이  가져온  비극적인  진실 

 

 

땡전 한 푼 없다’라는 말이 유행했다.   저자에서는 당백전을 ‘땡전’이라 불렀다.
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한 '당백전'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었다.


'당백전'은 이제 시간이 흐를수록 누구에게나 골치 아픈 구리 덩어리에 지나지 않았다.


 

  

    대원군이  자신의 아들을 왕좌에 앉히기 위해 오랜 세월  수모를 견디면서 보낸 시간들을 지나,  드디어 자신의 계획대로 아들이 왕이 되자  온 나라를 손에 쥘 수 있는  절대적인 힘을 갖게  된다. 하지만 더 강력한  왕권을 위해 시작한  경복궁공사는  처음 부터 무리한 토목공사였다. 국가의  든든한  재정능력이 없이  시작된  공사로  재정난에 빠진  대원군은  '당백전'을 만드는  무리수를 쓴다.  그리고  그로 인해 백성이나  상인, 시장질서는  한 순간에   무너져 버린다. 

 

   소설은  '당백전'이라는 하나의  소재를  가지고  악화의  발행과 통용이  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양한 측면에서   재미있게  들려준다.   어느 날  '보민평시소' 라는  지금의 경찰서와 같은 일을 하는  곳에  '사주전'( 국가가 아닌 개인이 동전을 위조하는 것 ) 을 만드는 것 같다는  밀고가 들어오고   포졸들이  출동한다.  그러나 미리 모두 도망친 상태에서  겨우 남은 한 사람을 붙잡을 수 있었으나,  범인을 호송하던중  주막에 들러 식사를 하다  누군가에 의해 범인이 독이 든 음식을 먹고  살해된다. 

 

  이후  살해된 '여지발'이라는 사람의 주변을 하나씩 파헤치면서,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그리고 한 편에서는  당백전이 발행되면서  조선말  경제는 엄청난 폭풍을 맞는다.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 물가는 끝도 없이 오르면서  백성들은 살아갈 힘을 잃어간다. 그 와중에도  돈의 가치대신  물품의 가치가 높아감에 따라  있는 자들, 양반들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재산을 축척하기에  바쁘다. 

 

  결국  당백전은  바른 말을 하는   사람들에 의해  발행  육 개월 만에  중단되지만,  이미  시장에는  그동안 통용되어온 화폐의 양만큼 엄청난 양의  당백전이  쏟아져 나온  이후였다.  '사람들은 좋은 돈과 나쁜 돈을 구별하기 시작했다. '가치 있는 돈은 양화라 하였고, '가치 없는 돈은 악화 라 하였다. '  당백전은 돈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 받을 수 없었기에 누구든 받기를 꺼리는 돈이  된다. 

 

   딸아이와 방학에  서울 화폐박물관을 갔던 적이 있었다.  벌써 몇 년 전의 일인데  그 때  그 곳에서 '당백전'을 실제로 보게 되었다. 당백전 뿐 아니라  실제로  통용되지 않았던 다른 화폐들도 구경할 수 있었는데, 해설 하시는 분이 각 화폐마다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셨다.  그 당시 딸아이가  학교에서 사회시간에  교과서에서 '당백전'에 대해 배우는 때여서  직접 박물관을  갔었고,  아이는 물론 나도 많은  공부가 된 시간이었다.  그 당시에는 그저  대원군이 경복궁을 지으면서  자금난 때문에  발행했으나 여러가지 폐단으로  중지된  화폐정도로 생각했다.

 

  나 역시 학창시절 그저  이런 저런  문제들이  발생해서  발행하고  잠시 통용되었다가 중단된 화폐정도로   배운 것이  당백전의 모는 지식이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한 나라에서  화폐를  발행하고  그것을   통용한다는  의미에 대해서   정말 많은 공부의 시간이었다.  워낙 경제와는 담을 쌓고 사는지라  내용이 다소 딱딱하지는 않을까 생각했는데,  추리소설처럼, 역사소설처럼  너무 재미있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