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이지 일본의 알몸을 훔쳐보다 1.2 세트 - 전2권
시미즈 이사오 지음, 한일비교문화연구센터 옮김 / 어문학사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메이지 일본의 알몸을 훔쳐보다 - 서양인의 스케치로 본 일본 -
프랑스인 '조르주 비고'에 의해 그려진 과거 사진기도 귀한 시절에 그려진 일본을 스케치한 풍자화들. 때로는 흥미롭게 , 혹은 자극적으로, 그리고 한편으로는 급변해가는 일본의 모습 속에 우리의 과거 모습까지 생각하게 한다. 한 사람의 스케치가 오랜 세월이 흐른 후 일본이라는 나라의 과거를 속속들이 들여다보는 역사가 되어있는 모습도 매우 독특하게 다가왔다. 일본의 전통문화와 새롭게 들어오는 서양문화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받아들이는 그들의 모습을 서양인의 눈과 손으로 그려낸 모습이 많은 생각을 하면서 그림들을 보게 한다.
잠시 일본에 머문 여행객 으로는 도저히 담을 수 없었던 일본의 다양한 계층의 모습들을 담은 스케치를 보면서 그런 그림을 담아낼 수 있었던 화가 비고의 삶도 아주 흥미로웠다. 짧은 여행계획으로 일본을 방문하고 이런 저런 스케치들을 담아 되돌아가지만, 결국 다시 일본에 돌아와 18년이라는 세월을 일본에서 생활한다. 일본인 여성과 결혼을 하고 그 사이에 아들까지 생기며 완전히 일본 속에 머물렀기에 더 적나라하게 일본의 모습들을 담아낼 수 있었을 것이다. 모든 그림들이 볼거리로 가득했지만, 정말 그가 일본에서 오랜 시간 살았기에 가능한 그림들이 대부분이다.
그림 중에 상당 부분은 정말 이 그림이 장면을 보면서 그린걸 까, 아니면 상상만으로 스케치를 했을까 싶은 부분들이 많았다. 특히 남자인 서양인의 신분으로 공중목욕탕의 여자들의 목욕하는 모습이라든가, 몸을 파는 게이샤들의 적나라한 모습, 하녀나 서민들의 일상들을 속속들이 담아낸 모습들이 그랬다. 특히 선그라스를 유난히 좋아하는 일본인들의 모습을 여러 장 그려낸 것이나, 점점 서양의 옷차림이나 문화를 탐닉하는 일본인들의 모습들을 풍자적으로 담아낸 그림들은 같은 과정을 거친 우리 과거의 모습이 담겨진 듯 부끄럽기도 하고, 기분이 영 좋지 만은 않았다.
그림마다 비고의 눈에 비친 서양인과 다른 일본인의 외모나 문화를 그린 모습 또한 그저 풍자적으로만 보이지 않고, 비꼬는 듯 보이기도 하고, 얕보는 듯 보이기도 했다. 유난히 돌출시킨 뻐드렁니, 그들이 오랜 세월 입어왔던 '훈도시'라는 일본 속옷,......등 여러가지 모습에서 자주 그런 인상을 받았다. 그림들은 일본뿐 아니라 서양에까지 전해지게 되었고, 사진이 귀하고 동,서양의 왕래가 그리 많이 않은 시절에 많은 서양인들은 비고의 그림으로 일본이나 동양을 판단했을 것이다. 자신들의 문화를 바꾸고자 열망하는 모습들을 스케치를 통해 보면서, 자신들이 우월하다는 생각을 했을 것이다. 한 번도 접해보지 못했던 일본의 근대사를 스케치를 통해 보는 시간은 내게도 무척 색다른 경험이었고, 이런 저런 생각도 많아지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