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아이가 되고 싶어요! 모퉁이책방 (곰곰어린이) 5
마리안느 머스그로브 지음, 김호정 옮김, 셰릴 오르시니 그림 / 책속물고기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착한 아이가 되고 싶어요!  -  아이들은 누구나 착하다  -

 

   매일 아침, '루시'는 착한 아이로 자리에서 일어났다. 

하지만 늘 일이 잘못되었다. 

그러고는 미처 알아차리기도 전에 루시는 나쁜 아이가 되어 버리는 것이었다.  

 

  아이들을 키우다 보면 모든 아이들이 착하다는 생각이 든다.  말썽을 부리기도 하고,  힘든 상황을 만들기도 하지만, 정말 찬찬히 사랑하는 마음으로 그 아이입장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일이다. 그러면 왜 아이가 그런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물론 아이의 입장을 헤아리지 못하고 먼저 화를 내고, 야단을 치기도 하지만 다시 찬찬히 생각해보면 아이에게 문제가 있기보다는 화를 내며 그 순간을  넘기지 못했던 내가 더 문제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래서 억울하기만 한 '루시'를 만나면서  더 많이  반성하는 시간이었다. 

 

  하루도  지적을 받지 않고 지나가지 않는 불쌍한 '루시'.  정말 잘하려고 노력하는데 결과는 언제나 야단 맞는 일로 끝난다.  사실이 아니라고 아무리 얘기해도 아무도 믿어주지 않는다. 정말 착해지고 싶은데, 착한 아이가 되려고 노력하는데 그렇게 자꾸 일이 어긋나기만 한다. 그러다가 고모할머니가 오게 되고,  할머니조차 한 번도 루시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다.  동생이 달걀을 먹으면 알레르기가 생겨서 안된다고 말씀드려도 할머니는  달걀을 혼자 먹기 위해 루시가 거짓말을 한다고 생각하고 야단만 치신다.  그러면서 함께 방을 쓰게 된 할머니께서 크리스마스에 온다는 나쁜 아이들을 잡아가는 검둥이 피트와 재투성이 커다란 자루이야기를 해주신다.

 


젖 먹던 힘까지 다해 착하게 굴었는데 아빠는 자꾸만 더 착하게 굴라고 말한다.

심지어 아빠가 보고 있지 않을 때도 착하게 굴었는데 말이다.

 

  나쁜 아이들은 검둥이 피트가 커다란 자루에 담아 다른 나라로 보내버린다는 얘기를 들은 후  루시는 더 착해지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여전히 착한 아이가 되고 싶어서  노력하는 일들이 꼬이고 또 꼬이기만 한다. 결국  혹시 자신이 정말 나쁜 아이가 아닐까 걱정하게 된 루시는  자신이 착한 아이인지, 나쁜 아이이지를 가려주는 실험을 하게 된다.  그 방법은 바로  상한 달걀을 골라내기 위해 물에 띄워보는 방법이다.  루시는 결국  위험한 상황에 빠지게 되고,  엄마, 아빠와 고모할머니까지 온 가족은 루시가 얼마나 착한 아이가 되려고 노력했고,  자신들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알게 된다.

 

  아이들은 누구나 칭찬받고 싶어한다. 그리고 칭찬을 하면 할수록 더 잘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다만 우리 어른들이 그 아이입장에서 배려하는 마음이 부족해서 기다려 주지 못하고, 조급한 마음을 보일 때 아이들이  힘들어 하곤 한다.  어떤 아이들이라도  너그러운 마음으로 돌봐주고,  따뜻하게 안아 줄 필요가 있다.  배려받고 사랑받는 다는 사실을 아이들이  느낄 때 아이들은 더 착한 아이가 될 것이고,  자신감이 생길 것이기 때문이다.  '걱정을 걸어두는 나무'를 읽고, 다시 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에 대한 호감이 더 깊어지고 있다. 아이들 입장에서 아이들 마음을 정말 잘 이해하는 작가라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