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을 가다 - 고목나무샘에서 보구곶리까지
신정섭 지음 / 눌와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한강을 가다 -  물길여행, 환경여행, 탐사여행  -
 
 우리가 이 세상에 존재하기 훨씬 전부터 한강은 흐르고 있었고, 우리가 사라진 후에도 한강은 변함없이 흐를 것이다.
흐르는 강물처럼 우리 역시 한때 잠시 이곳에 머무를 뿐이다. -저자의 말-
 
  한강. 참 너무 흔하게 들어왔고, 늘 그 자리에  있어서  오히려  생각할 이유도 없을 만큼 당연하게 잘 알고 있는 강이라고 생각했다.  그다지  더 알아야 할 것이 많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었다.  그러니까 건방지게도  더이상 말이 필요없을 만큼 나름 한강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었다. 최소한  이 책을 읽기 전까지.  그런데 책을 읽을수록 우리가 과연 한강에 대해, 우리의 수도 서울을 흐르는 강이라는 사실말고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의문이 생겼다. 다른 나라에서는  전쟁의 폐허 속에서 일궈낸 우리를 보고  '한강의 기적'이라고 한다는데 정작 우리는  세계인이 말하는 그 한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한강 줄기를 따라 가고 싶고, 보고싶은 곳이 이렇게 많아질줄은 몰랐다.   물줄기마다  그 속에 숨쉬는  동.식물들과  사람들이 있고, 우리의 지난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첫 번째 물길인 한강이 시작된 발원지에서부터,  발원지, 상류, 중류, 하류를 따라 서울을  관통하며 흐르는 한강은 정말 우리민족의  생명수이다.  우선 저자가 수시로  거론하는 환경문제에 대해서도 심각하다는 생각이 점점 더  깊어지고,  우리가 할 일이 무엇인지 다시 돌아볼 일이라는 생각이다.  저자의 말처럼 우리는 언제나 잠시 머물다 떠나가면 그뿐이지만, 우리의 후손들은 계속해서 그 자리에 한강과 함께 물줄기를 따라 변함없이 나고 자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만이 아니라 그 속에 함께 하는 소중한 존재들은 끝도 없이 많기만 하다.  어느 나라나 그 나라의 수도에는  항상  물길이 함께 했고, 그 물길을 잘 가꾸고 다스린 나라가  결국은  번성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우리에게 너무도 소중한 한강을 따라가다보니 덜컥 걱정이 되기도 하지만, 그래도 아직 노력에 의해서 더 보존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아서 다행이다 싶기도 했다.  작은 풀 한포기,  돌멩이하나,  물고기 한 마리도 우리의 의지에 따라 다 함께 오래도록   같은 자리에서 변함없는 동반자가 되길 바란다.   우리 역사의  발자국들이 남겨 있는 이런 저런 문화유산들도 더 잘 가꿔지고 보존되길 바란다.
 
  지금보다 더 깨끗하고, 아름답게  그 자리에서 우리의 무궁한 발전을 바라보면서, 우리 민족의  갈증을 달래주는  생명의 물줄기로 영원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