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무소유 - 법정스님 이야기
정찬주 지음 / 열림원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소설무소유 -  풍요로움에 대한 반성의 시간  -
 
"중이 하나만 있으면 됐지, 왜 두 개를 가지겠느냐. 두 개는 군더더기이니 무소유라 할 수 없느니라."
 
   '소설 무소유'는 소설이라기보다는 저자가 법정스님의 발자취를 따라가면서 그 분의 삶을 다시 한 번 정리한 형식의 책이다. 샘터사에 근무하면서 법정스님의 책을 여러 권 출간하게 되면서, 법정 스님과 인연을 맺어온 저자는  법정 스님으로부터 '무염'이라는 법명을 받을 만큼 스님과는 도타운 사이였다.  최근 들어 법정스님의 입적과 함께 여기저기에서 스님과 관련된 책들이 많이 출간되고 있는데,  그 중 이 책을 읽기를 잘했다 싶은 마음이다.
 
  스님이 쓰신 여러 권의 책을 읽었지만, 어느 부분 한가지 버릴 곳이 없어 늘  참회하는 마음으로, 존경하는 마음으로 책을 만나곤 했다.  이 책은 그런 법정스님의  보석같은 가르침의 글들과 함께 스님의  살아오신 모든 것이 함께 담겨져 있어,  그동안 다 알지 못했던 스님에게 더 가깝게 다가가는 시간이었다.  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스님의 입적을 안타까워하고, 종교를 떠나 모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는지를 다시 한 번 느끼게 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스님의 글 '무소유'에서 스님은 무소유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신다. '우리들은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게 되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적잖이 마음을 쓰게 된다. 그러니까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인다는 뜻이다. ' 스님은 우리가 필요하다 생각해 소유하지만, 그 물건들로 인해 이런 저런 구속을 받게 된다면, 그것은 주객이 전도되는 일이 된다고 가르치신다.  
 
  언제인가 이름만 대면 알만한 나이 드신 연애인중에 한 분이  암에 걸려 시한부 선고를 받고 하신 말씀이 항상 '무소유'에 대해 생각하는 마음을 갖게 한다.  어느날 병을 알게 되고 조용한 곳으로 이사를 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집을 둘러보니, 정말 필요없는 물건들이 너무도 많다는걸 알게 되었다고 한다. 그저 먹고 사는데 필요한 물건이 아닌 많은 것들이 눈에 들어왔고, 그 순간 참 쓸데없는 짓을 많이 하면서 살았구나 반성이 되었다고 한다.
 잡초 그 자체는 '잡초'가 아니라 그 나름의 존재 이유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잡초도 커다란 생명의 잔치에 동참하고 있는 작은 생명인 것이었다.  
 
   수의도 입지 않고, 평소에 자신의 침상으로 사용하던 대나무 평상 위에서 이루어진 스님의 다비식.  오색 만장도, 꽃 상여도 없는 다비식이지만 우리는 모두 보았다. 매스컴을 통해 그 분이 열반에 드시는 모습을. 나는 그 모습을 통해   많이 나의 욕심을 반성하며 안타까운 눈물을 흘렸었다.  우리가 그 분의 삶을 존경하고, 그 분의 열반을 안타까워 하는 그 마음을 변치 말고 주위의 이웃을 돌아보고, 스님의 '무소유'의 마음을 돌아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