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한국을 이끈 역사 속 명저 - 옛 책 속을 거닐며 미래를 여행하다
이종호 지음 / 글로연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 한국을 이끈 역사 속 명저 -자부심에 빠져들다-

 

  누구나 알고 있고 학창시절 자주 등장했던  왕오천축국전, 동의보감, 지봉유설......등 역사 속의 책들을 통해 알게된 많은 사실들은 그저 학과공부를 위해 달달 외우던 옛날 기억속의 책들이 아니었다.  깊이있게 알아가면 알아갈수록 새롭게 그  소중한 가치가 느껴지면서 사춘기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최고의 책이자, 전 세계인들에게 마구 자랑하고 싶은 책들로 살아났다.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은 세계 4대 여행기로 꼽히는 고전문학이면서  우리의 문화유산이지만 중국 돈항에서 발견되어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에 수장되어 있다는 사실에 몹시도 안타까웠다.  '이순지의 칠정산'부분은  잠자리에서 중학생 딸아이와 함께 읽었는데 정말 감동적이었다. 아이와 세종대왕 재위시절의 우리의 과학적인 발전을 읽고, 위대함을 느끼게 된 순간이었다.  특히 일시과 월식에 관한 이야기와 '천문의기제작 프로젝트'는  잘 아는 내용이면서도 가슴이 벅찬 부분이었다.  정약전이 흑산도 유배시절에 썼던 '자산어보'중에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인어에 대한 이야기였다. 지금은 학자들에 의해 '해우'라는 어종으로 추정된다는 인어에 대해 5가지로 상세하게 분류해 놓은 글을 읽으면서  동화 속에 등장했던 인어공주의 신비로움에 빠져들기도 했다.

 

  모두 8가지의 책과 책 속에 다시 소개되는 또 다른 책들까지 우리가 늘 들으면서도 그 가치를 제대로 모르고 있었던 우리 조상들의 슬기와  미래를 내다볼 수 있었던 과학적인 안목이 너무도 자랑스럽다. 제대로 첨단 장비나 컴퓨터 등이 없던 그 시절에 어떻게 천문을 연구하고,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었는지......5천년 장구한 역사 속에 우리가 자랑하고 지켜가야 할 것들이 너무도 많다. 지금 우리가 세계10대 강국이 되었던 저력은 바로 이런 우리 조상들의 지혜로움과 탐구정신이 아니었을까. 우리가 모르는 사이 그들의  열정과  백성 사랑의 정신이 우리에게 전해졌고, 우리의 힘이 되어 왔을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그저 문명의 발달에 앞으로만 달려온 우리들이 더 늦기 전에 이제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들을  돌아보고 그것들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할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프랑스에 있는 '왕오천축국전'을 비롯해  끝도 없이 많은 문화유산들이 제대로 가치를 평가받지 못하거나 여러 나라들에 흩어져 있다는 것을 안타까워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더 늦기 전에 그것들을 찾아와서 100년, 1000년뒤 다시 우리의 후손들이 더 자부심을 가지고 지켜나가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