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조건 - 하버드대학교. 인간성장보고서, 그들은 어떻게 오래도록 행복했을까?
조지 E. 베일런트 지음, 이덕남 옮김, 이시형 감수 / 프런티어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의조건

-하버드 대학교 인생성장보고서-

 

  아주 천천히 되도록 꼼꼼하게 책을 읽었다. 충분히 그럴만한 가치가 있었고 그들의 긴 시간의 노력을  어느 곳이라도 빠트리거나 소홀히 하고 싶지 않았다.  내용이 많이 궁금하기도 했지만, 그들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정말 인생의 지혜를 얻고 싶었다.

저자인 ' 조지 베일런트'는 현재 하버드대 의과대학 교수이자  여성병원의 정신의학분과 연구소장이고, 정신과 전문의이며  세계 최장기 <성인발달연구>를 맡아온 책임자이다.  이 연구는 올해로 72년째 계속되고 있으며 현재도 계속 진행중인 연구이다.

그가 연구한 <성인발달연구>란 하버드대 대학교 2학년생 268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와,  중간에 다른 연구를 물려받으면서 추가된 우수한 여성천재 집단인 '터먼 집단' 90명에 대한 연구, 사회적 혜택을 덜 받은 '이너시티집단' (서민남성) 45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연구이다.  그들 세가지 집단의 인생과정을 꾸준하게  따라가며 70여년의 연구를 한 성과이다.  이미 사망한 사람도 있고, 아직 생존해 있는 사람도 있으며, 사회적으로 아주 명성을 남긴 사람도 있다.  이렇게 장기적인 연구에는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어갈 뿐 아니라 연구 대상자의 호응도에 따라 연구의 성패가 좌우되기도 하는 아주 힘든 과정이다.  또한  끝도 없이 기다려야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런 일에  누구도 쉽게  연구에 대한 지원을 해주려 하지 않는다.  많은 힘든 과정과 어려움 가운데 이루어낸  소중한 결실들을 보여주는 이 책을 읽어나가는 일은  매 순간이  흥미롭고, 경이로운 경험이었다.

 

*터먼여성집단  '수잔웰컴'-성공적인 노화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성공적인 노화란 자기가 늙어간다는 생각을 잊고 사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 "나는 아직도 할 일이 너무 많아요"

나는 여러 연구자들 중에서 이 분의 연구과정에 대한 글을 읽으면서 참 감동을 받았다. 대부분의 인생을 즐겁고 행복하다고 생각하고 늙는 것에 대해서 심각하지 않았던  분들의 공통점은  인생을 긍정하고, 사람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잘  형성하며, 무슨 일이든지 즐겁게 반응한다는 사실이었다.  거기에 한 가지 가장 중요한 사실 원만한 결혼생활이 아주 중요했다. 

얼마든지 더 좋은 환경과 학력을 소유하고 있는 다른 많은 연구대상자중에  늘 부정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의 결말은 정말 비참했다.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어린 시절의 성장과정은 인생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은 정말 흥미롭고 많은 도움이 되었다.

너무 많은 분들의 얘기들이어서 한 번 보고 던져두기에는 아깝고 값진 책이었다.  다시 한번  천천히 읽으면서  책의 제목처럼  인생의 '행복의 조건' 에 대해서 중년을 맞고 있는 내가  제대로 실천할 부분들을 찾아내고  실천하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