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낭 담쟁이 문고
이순원 지음 / 실천문학사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워낭 -정말 고맙다, 소들아!!-
 
 사실 도시에서 살아서 인지 소에 대한 추억은 거의 없다.  큰집이 시골이라 초등학생 시절에 한 번 가면 일주일 정도씩 2~3번  놀러 갔었는데 그 때  외양간의 소를 본 기억과 큰 엄마가 소에게 줄 짚을 작두에 썰어 마당의 솥에 불을 때서 끓이신 후 소에게 먹일 여물인가를 만들어 먹이던 일,  그리고 외가에 역시 어릴 때 놀러 갔다가  외양간의 옆에 재를 쌓아두고 거기서 큰일을 보게 하신 후 재로 덮어두었다 비료로 사용하는 모습을 본 기억이 꿈처럼 어렴풋이 생각나는 정도다.  지금이나 그 때나 겁이 많은 나는  외양간 근처에는 얼씬도 못했는데  벌써 30년전쯤의 일이니까 이제 기억도 가물가물 하지만,  그 외양간의 냄새와  이른 아침 큰 엄마가 끓이던 쇠죽냄새,  그리고 멀리서 바라보던 나를, 뚫어져라 쳐다보던 그 눈망울만은 또렷하게 기억 속에 남아있다.
 
  소들이 죽고 나면 하늘나라의 '금우궁'이라는 곳에 올라가 살게 되는데 , 이야기 속에서는 소가 글의 화자가 되어 하늘나라에서  자신들의 집이었던  살아생전 우추리 차무집에서의 생활을  우리에게 들려주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웃에게 새끼를 낳으면  새끼를 받는 조건으로 그 집의 소를 데려다가 새끼를 볼때까지 대신 키워주는데  그 소를 '그릿소'라고 한다.  가난했던 차무집에서 처음 기르게 된 소는 바로 이웃의 '그릿소'였다.  그리고 '그릿소'를 키워내고 드디어 처음 얻게 된 그릿소의  송아지 '흰별소'는 차무집의 진정한 첫 소가 된다.  이마에 하얀 별 모양이 있다고 해서  '흰별소' 라는 이름이 붙여진  흰별소로부터 이어져, 낳고 자라고 낳고 자라기를 반복하면서  생겨난 미륵소, 버들소, 화둥불소, 흥걸소, 콩죽소, 검은눈소......까지  소의 성장과 함께 차무집이라는 한 농가의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에서, 손자......까지 이어지는 삶이 함께 그려진다.  차무집에서의 소는  때로는  아들의 결혼잔치를 위해 기쁘게 잔치음식이 되어주기도 하고,  멀리 시집 온 외로운 며느리의 위안이 되어주기도 하고,  일본 지서에 일을 위해 갔다가 일본인에게 매를 맞는 주인을 보고 일본지서를 엉망으로 만들어 버려 앙갚음을 해주기도 하고,  아내를 먼저 보낸 차무집 어른에게는  아내같은 존재가 되어 주기도 하고,  불구인 세일이에게는 사람보다 더 가까운 친구가 되기도 한다.  
 
  어영부영 하다가  영화 '워낭소리' 극장에서 상영되는 시기를 놓쳐버리고, 여기저기 매스컴에서 간단히 소개된 내용정도만 알뿐 아직 보지도 못하고  리스트목록에만 남겨둔 상태였다.  그런 와중에 읽게 된 이 책 <워낭>. 시골에서 살지도 않았고 소에 대한 추억도 없던 나는  중간 중간  정말이지 엄청 울면서  읽어나갔던 책이다.  영화를 먼저보아  내용을 알고 있고, 소에대한 추억이 많았다면 또 다르게 다가왔을까 싶은 마음이 들기도 했지만 정말 최근 읽은 책중에 최고의 감동을 느낀 책이었다.  그리고  참 따뜻하고 예쁜 책이었다.
지금은 모두 '금우궁'에서 편히 살고 있는 흰별소, 검은눈소, 화둥불소......들아. 정말  애들 많이 썼구나. 그저 고마움 마음이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