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고집의 우리음악이야기 특목고를 향한 교과서 심화학습 14
NS교육연구소 지음 / 에듀조선(단행본)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서평) 옹고집의 전통음악이야기

-특목고를 향한 교과서 심화학습 시리즈 14-

 

  여러권의 이 시리즈를 읽으면서 정말 아이들 눈높이에서 꼭 알아야할 정보들이 많은 책이라는 생각을 했다.
이 번에 읽게 된 '전통음악이야기' 에 관련된 이 책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부분들까지  다양하게 잘 나와 있어서 한 번 보고 마는  책이 아니라  두고 두고 볼만한 책이다.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고학년이 되면서 음악과목뿐 아니라 국어과목에서도 전통음악에 대한 얘기가 종종 나오는데 현대에 자주  접하지  못하는 고전음악에 관한 부분이어서인지 유독  싫어하거나 어렵게 느끼곤 했다. 
하지만  아이들이 어려워하더라고 교과서에 수시로 나오는 부분이면서 꼭  알아야하는 부분이었는데  이 책이 도움이 많이 될것같다.  아이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첫머리에는  '옹고집' 동화를 시작으로  펼쳐지는 책의  구성이  일반 동화책을 보듯이 접할 수 있어 아이가 부담감을 느끼지 않고  즐겁게 읽기 시작하는 것이 더 마음에 든다. 

  영역별로 교과서에 자주 나오는 다양한 전통음악이 소개되는데, 음악영역은 판소리와 우리가락을 배우면 꼭 알아야할 판소리 토막 상식들이.  문학영역에서는  우리고유의 판소리를 주제로 쓴 소설인 '선학동 나그네'를 통한 작품소개와 전라도지역이 판소리의 고장으로 유명한 이유.  역사영역에서는  송만갑, 이화중선, 임방울, 오정숙 선생님의 사진과 함께 판소리 명창들의 소개. 음악영역에서의 민요에 대한 소개와 각지역별 민요의 특성 그리고 너무 흥미로웠던 각 지역의 아리랑의 특색에 대한 소개.  특히 정선아이랑에 얽힌 여러가지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들은 잘 접하기 힘든 부분을 알게되는 계기가 되었다.  문학영역에서는 공무도하가, 황조가, 서동요를 짧은 동화형식으로 재미있게 소개하고,  그 외에도 우리의 전통악기와 거문고의 유래, 사물놀이가 만들어진 이유와  발전모습,  너무도  인기있는  난타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와 성공담까지.  사실 아이보다 내가 더 흥미롭게 보게 되었는데,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면서 교과목과도 아주 연결이  잘 되어있는 책이었다.   더불어 이 시리즈의 다음 내용들도 궁굼해지고 관심이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